하루 근로 8시간, 주당 연장근로는 12시간으로 제한하는 현행 근로시간제를 손질해 일자리 창출 마중물로 삼아야 한다는 경영계의 요구가 나왔다.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활용기간을 1년으로 확대하고, 연구개발(R&D) 또는 고소득·전문직은 근로시간 규제 예외를 인정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자는 주장이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11일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 국민의힘 중소기업위원회와 공동으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근로시간 유연성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우리 노동법 제도는 70년 전의 낡고 경직된 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이로 인해 경제발전의 혁신동력이 약화되고, 일자리 창출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 회장은 "우리나라가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선진형 경제체제로 가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고 노동법제도를 선진화해야 한다"면서 "특히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산업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1일 근로를 8시간, 주당 연장근로를 12시간으로 제한하는 현행 근로시간제도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