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인플레 우려 vs 정상회담 기대감...韓美 통화 정책은? <주간 증시 전망>

인플레 우려 vs 정상회담 기대감...韓美 통화 정책은? <주간 증시 전망>
지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한미 정상회담·중국 상하이 봉쇄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교차할 전망이다. 오는 26일 예정된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의사록 공개 결과에 따른 변동성 확대 우려도 존재한다. 금융투자업계가 전망한 이번 주 코스피 예상 밴드는 2500~2650선이다.

■금통위·FOMC 의사록 등 '금리 이벤트' 예정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20일 34.73p(1.33%) 상승한 2638.97로 장을 마감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실적 부진으로 미국 대형 유통업체들이 잇달아 급락하는 등 미 증시가 하락하자 국내 증시도 변동성이 확대됐다. 그러나 중국에서 상하이 봉쇄 조치 완화 등 긍정적인 소식이 들리자 국내 증시도 주 후반에 상승폭을 키웠다.

한 주 동안 개인은 코스피에서 7396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지난주 순매수로 전환한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3523억원 어치를 사들이며 한 주 내내 ‘사자’를 이어갔다. 코스닥은 26.80p(3.14%) 상승한 879.88에 마감했다. 코스닥에서는 개인 투자자가 1361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66억원, 628억원을 사들였다.

이번 주에는 한국과 미국에서 향후 금리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 이벤트들이 예정돼 있다. 금리의 움직임은 환율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당 이벤트들을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

오는 26일에는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주관하는 첫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정돼 있다.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폭이 25bp(1bp=0.01%p)가 될지 50bp가 될 지가 주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대외적 불안 요인들이 지속되며 환율이 상승했지만 추세적 관점에서 봤을 때, 환율은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한다”면서 “미 달러화의 실질실효환율이 장기 표준 편차 범위(밴드) 상단을 넘어서고 있고 우리나라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은 장기 표준 편차 밴드 하단에 거의 접근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달러 가치는 고평가 국면으로 들어가고 있고 원화는 지나친 저평가 국면에 접근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26일 미국에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공개된다. 5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은 2000년 5월 이후 20여 년 만의 빅스텝(50bp 인상)을 결정한 바 있다. 5월 회의록을 통해 금리 인상이 75bp가 될지 여부와 향후 기준금리 경로에 대한 연준위원들의 의견 확인이 필요하다.

■"변동성 이어질 듯…정상회담 수혜주 주목"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주에도 증시 변동성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미국 실물 경기 지표 호조에도 부진한 소매 기업 실적이 발표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되는 등 여전히 증시 불확실성은 높다”면서 “저가 매수 반등과 인플레이션 우려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하면서 6월 FOMC 전까지 변동성이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코스피가 바닥을 다지고 대형 성장주들은 실적에 따라 주가 방향이 결정된 반면, 인플레 관련 주식들은 고점을 지나고 있다”면서 “4월 미 소비자물가 상승률 8.3%가 피크아웃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업종별로는 한미 정상회담 관련 테마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식 시장이 물가와 경기 전망에 대한 뉴스에 취약해져 있는 상황”이라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개별 기업들의 수익성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에 따른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등 업종들의 모멘텀을 주목한다”며 “또 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현지 투자 기업에 대한 세액 공제와 각종 보호무역 규제 완화 등 규제 개선 여부가 관전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