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소공연 '카카오 먹통' 피해 2117건 접수…"실질적 보상안 마련해야"

소공연, 카카오 피해 사례 2117건 접수
"카카오, 실직적 보상안 마련해야"
카카오 "빠른 시일 내 협의 마칠 것"

소공연 '카카오 먹통' 피해 2117건 접수…"실질적 보상안 마련해야"
카카오 먹통 사태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 서비스 유형. 소상공인연합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로 접수된 소상공인 피해 사례가 220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카카오에게 피해보상 협의체를 구성하고 실질적 보상안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9일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달 17일부터 2주간 카카오 마비 관련 소상공인 피해를 접수받은 결과 총 2117곳의 피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외식업이 26.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서비스업(20.9%), 운수업(20.8%), 도소매업(18.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41.8%, 경상권 20.6%로 집계됐다. 지역 특성상 카카오T 기반 서비스 의존도가 높은 제주도도 18.2%로 조사됐다.

피해 서비스 유형으로는 페이·기프티콘 결제 이용 피해가 51.8%(중복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톡채널 서비스 예약·주문·상담(49.6%), 주문·배송 알림(40.1%), 카카오T·카카오맵(32.8%), 카카오 로그인(25.1%), 멜론서비스(15.3%) 순으로 나타났다.

소공연 측은 "카카오톡 채널을 기반으로 한 고객 인입(안으로 끌어들임)을 위해 다양한 채널의 광고비가 지출됐고 톡채널을 통해 고객의 주문과 예약·상담을 확인할 수 없는 업체들은 사고 당일 급격한 매출 하락이 발생했다"며 "카카오T와 카카오맵 기반의 서비스를 통한 주차관리 및 배달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운수업계와 외식업계는 서비스 정지로 고객 항의 폭주와 추가 인력 배치, 기대 매출 하락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기도에서 떡볶이 전문점을 운영하는 A씨는 카카오 먹통 사태로 카카오맵 기반 배달대행사를 이용하지 못해 매출이 급감하는 피해를 겪었다. A씨는 "카카오맵 마비로 배달접수를 할 수 없어 방문고객만 응대했다"며 "토요일 평균 매출 350~400만원인 매장인데, (사고 당일인) 15일 매출만 105만원으로 4분의 1토막이 났다. 이걸 소상공인이 그냥 감내해야 하냐"고 토로했다.

서울 서초구에서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해 100% 예약제로 피부관리숍을 운영하는 B씨는 카카오 마비로 3일간 예약 문의를 확인하지 못했다. 그는 "카카오 먹통 사태로 예약 확정된 고객을 제외하곤 파리를 날렸다"며 "매출 손실도 손실이지만 네이버 광고를 통해 톡채널로 인입시키는 마케팅을 하고 있는데 3일간 신규 인입 정보가 다 날아가 버린 건 누가 책임지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번 피해접수 결과를 토대로 소상공인연합회는 실질적 피해보상을 위해 피해 소상공인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소상공인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카카오 사태로 입은 피해에 대한 신속하고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이번 피해사례 모니터링 결과 카카오를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한 소상공인이 매우 광범위하고 유·무료 서비스를 막론하고 카카오 마비가 초래한 소상공인의 실질적 영업피해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카카오 측은 유·무료 여부를 떠나 마비에 따른 소상공인의 피해에 대해 소상공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상안 마련과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 측은 "소공연을 포함해 여러 단체와 협의체 구성을 논의해 왔고 곧 최종 확정해 협의를 시작 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 협의를 마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