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기준 권역별 입주물량 전월 및 전년동월 비교 |
(가구 수 ) |
지역 |
2022년12월 |
2021년12월 |
2022년 11월 |
2021년 12월 대비 증감률 |
2022년 11월 대비 증감률 |
수도권 |
18,391 |
15,577 |
14,250 |
18% |
29% |
지방 |
11,962 |
13,828 |
8,097 |
-13% |
48% |
전국 |
30,353 |
29,405 |
22,347 |
3% |
36% |
|
(직방) |
|
[파이낸셜뉴스] 다음달 대규모 입주물량으로 전셋값 하락폭이 깊어질 전망이다.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3만가구로 올해 들어 최대 규모다. 특히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데다가 금리인상 및 전세매물 적체 등으로 경기도 등 서울 인근지역의 전셋값 하락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8일 직방에 따르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3만353가구로 전월(2만2347가구), 전년 동월(2만9405가구)에 비해 각각 36%, 3% 증가한 규모다. 매년 12월은 해를 넘기지 않고 입주를 진행하는 단지가 집중돼 물량이 집중되는 시기다. 올해도 같은 추세지만 연중 최대치 물량이다.
수도권 입주물량이 60%에 이른다. 수도권은 전년동월(1만5577가구) 대비 18%가량 많은 1만8391가구가 입주한다. 이는 2021년 1월(2만 402세대) 이후 1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경기가 1만3111가구로 가장 많다. 인천 3100가구, 서울 2180가구 순이다.
주요 입주 물량으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대곡역롯데캐슬엘클라씨가 꼽힌다. 능곡연합주택을 재건축한 단지로 총 834가구, 전용 59~84㎡로 구성됐다. 인천에서는 부평구에 부평SK뷰해모로가 입주한다. 부개서초등학교 북측구역 일대를 재개발한 곳으로 전용 36~84㎡에 총 1559가구이다.
최근 입주물량이 부진했던 서울은 마포, 서초, 서대문구에서 정비사업이 완료된 사업장 3곳이 입주를 준비 중이다. 아현 2구역을 재개발한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의 마포더클래시 단지의 경우 총 1419가구, 전용 43~84㎡의 중소형 면적대로 구성됐다.
전문가들은 12월 입주물량이 집중되는 지역 중심으로 전세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음달 수도권에 월별 전국 입주물량에 버금가는 물량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금리인상 등으로 전세수요의 월세전환이 증가하고, 새 아파트 잔금마련을 위해 전세를 내놓은 집주인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입주 물량이 집중되는 지역 중심으로 전세가격 하락폭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전세가격 하락세는 현재 진행형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36% 떨어졌다. 이는 2008년 12월(-1.50%) 이후 13년10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최근 5개월간 전국 전세 가격지수 변동률은 △-0.08% △-0.16% △-0.45% △-0.78% △-1.36%로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전세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며 반전세·월세로의 계약 전환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세 매물은 쌓이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이 이날 기준으로 집계한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5만1811건으로, 전달(4만7435건)보다 9.2% 늘어났다. 경기 역시 6만6923건으로 전월 대비 5.2%, 인천은 1만5026건으로 5.6% 늘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전세수요가 위축된 상황에서 입주 아파트 집주인이 전세를 빨리 구하기 위해 급전세를 내놓으면 전세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며 "또 전세 세입자를 구해 잔금 대출 납부를 계획했던 집주인이 역전세난에 급매로 매매를 하는 경우가 늘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전세가격이 하락하면 매매가격보다 전세값이 큰 차이가 없는 깡통전세를 주의해야 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새 아파트의 경우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매물이 나와 세입자들의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며 "새 아파트 집주인들이 잔금 마련을 위해 급하게 내놓은 매물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개별 매물에 대출이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분양가 등과 비교해 경매 진행 가능성을 고려해 위험 매물인지 여부를 잘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