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과 전산업의 생산성 비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건설산업과 농업을 제외한 전체산업의 평균 노동생산성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에서도 순위가 하락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9일 '한국 건설산업 생산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1년 104.1에서 2021년 94.5로 감소했다. 산업생산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도 같은 기간 106.9에서 98.6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은 2011년 98.8에서 2021년 113.5로,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은 2011년 104.5에서 2021년 110.0으로 증가했다.
노동생산성 감소는 동일하게 투입된 인력이 더 적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건설산업 종사자의 임금 향상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선진국과 비교하면 건설산업 격차는 더 벌어졌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건설산업 노동생산성 순위는 2010년 22위에서 2019년 26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산업의 노동생산성이 23위에서 22위로 한 단계 상승한것과 다른 모습이다.
보고서는 건설산업은 과거와 같은 노동과 자본 투입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경기부양을 위한 건설투자 확대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등 영향으로 앞으로 생산성 저하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성유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민간부문의 저조한 기술투자, 규제 중심 제도여건 등 앞으로도 건설산업의 생산성 저하가 예상된다"며 "이대로라면 건설업과 전산업과의 생산성 격차는 더 커질 가능성이 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