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오는 2027년까지 경남 합천 등 전국 26곳이 산업·창업지원·문화 등 지역 고유자원을 활용한 도시 재생사업으로 추진된다. 새정부 첫 도시재생사업이다. 서울 지역은 전무했고, 사업지 중 88%가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돼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일부터 14일까지 제31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서면 심의를 거쳐 이 같이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중앙·광역 사업 공모에 접수된 76곳에 대해 심의해 실현 가능성과 사업 타당성이 높은 곳 위주로 선정했다.
신규 사업지 26곳 중 88%인 23곳이 비수도권이다. 특히 인구 50만 이하 지방 중·소도시 비중이 57.7%(읍면지역 42.3%)에 달한다. 오는 2027년까지 총 1조5300억원이 투입된다. 사업 부지 규모는 331만㎡에 이른다.
기존 공급 위주의 획일적인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SOC)과 달리 산업·창업지원·문화 등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사업별로 광역 사업은 지역특화재생사업 15곳, 우리동네살리기 10곳이다. 중앙 사업은 혁신지구 1곳이다.
지역특화재생 사업은 부산 수영구, 인천 남동구, 경기 용인, 강원 강릉·인제, 청북 청주, 충남 천안, 전북 익산·임실, 전남 완도, 경남 진주·창원·합천, 제주 등이다. 지역특화재생은 역사·문화 등 고유자산을 활용해 스토리텔링·도시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중심·골목 상권을 활성화한다.
경남 합천의 경우 2026년까지 739억원을 투입, 영상테마파크 등 지역이 가진 영상문화 콘텐츠와 연계한 도시브랜드 특화사업을 추진한다. 충북 청주는 서원구 모충동 일대에 2026년까지 화장품, 뷰티 등 충북 전략 사업과 연계한 창업 지원 사업을 진행된다.
우리동네살리기는 부산 영도구·해운대구, 대구 달성군, 경기 양주, 강원 속초, 충남 보령, 전북 부안, 전남 영암, 경북 울진 등이다. 이 사업은 소규모 주거지역의 주거지 정비, 집수리 등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지난 2013년 도시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 부산 영도구 신설동 일대(5만7500㎡)는 지역 내 한부모가정, 독거노인 등 돌봄을 위한 복지형 거주 공간을 조성하고,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미끄럼방지 포장, 계단 정비, 경사형 녹지공간이 담긴 포켓쉼터 제공 등 생활가로환경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도시재생혁신지구로 선정된 전북 고창은 원도심 일원에 공공주도로 연구·가공·유통·창업지원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유기농 가공산업 혁신거점을 조성한다.
정부는 이들 사업을 통해 공동이용시설 47개, 창업지원공간 15개, 신규주택 약 1025가구 공급, 노후주택 1433가구 수리 등 주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 약 8800개의 일자리 창출 등도 기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역 고유자원을 활용한 도시브랜드화 등 기존 사업과는 차별화되고 계획의 완성도가 높은 사업만을 선별했다"며 "빠른 시일 내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