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이솜 스틸컷 /사진=뉴스1
[CJ ENM 제공. 재배포 및 DB금지]
'유령' 스컷 /사진=뉴스1
'유령' 스틸 컷 /사진=뉴스1
'유령' 스틸컷(CJ ENM 제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결이 다른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로 만들고 싶다는 감독님 말에 관심이 갔다."
영화 ‘유령’(제작 더 램프, 제공/배급 CJ ENM, 각본/감독 이해영)은 배우 설경구의 말마따나 이색적인 설정의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다.
조선총독부에 숨어든 항일조직 스파이 ‘유령’을 소재로 한 이 영화는 벼랑 끝 외딴 호텔을 무대로 한 밀실 추리물로 시작해 장총과 쌍권총을 든 통쾌한 여성액션무비로 탈바꿈한다. 배우들은 한국어보다 일본어를 더 구사해 “제2국어가 필수”라는 업계 관계자의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영화는 1933년 경성을 무대로 항일조직이 조선총독부에 심어놓은 스파이 ‘유령’ 색출에 맞서 진짜 유령들의 목숨을 건 작전을 그린다.
신임 조선총독의 경호를 맡게 된 ‘카이토’(박해수)는 엘리트 군인이었으나 좌천된 경무국 소속 통신관이자 한때 자신의 경쟁자였던 ‘쥰지’(설경구)를 포함해 총독부 통신과 암호 전문 기록담당 박차경(이하늬), 조선인임에도 총독부 실세인 정무총감 비서에 오른 유리코(박소담) 등 다섯 명의 용의자를 밀실에 가둔다.
초반부는 이들 중 누가 진짜 유령인지 추리게임이 다소 지루하게 펼쳐진다. 하지만 첫 번째 희생자가 나오고 예상치 못한 인물의 화려한 액션이 시작되면서 영화는 통쾌한 액션무비로 분위기 전환된다.
설경구와 이하늬는 성별의 차를 극복하고 몸과 몸이 직접 격돌하는 맨몸 액션으로 눈길을 끈다. 동시에 누가 ‘유령’인지 알지 못한 채 서로를 향한 의심과 경계를 세우며 각자의 목적을 향해 달려가는 ‘유령’ 속 캐릭터들은 서로 격돌하면서 저마다의 강렬한 액션을 선보인다.
‘유령’은 항일조직을 다루나 애국심을 강조하진 않는다. 오히려 젊은 동지들의 잇단 죽음에 회의감마저 드러낸다. 항일조직을 잡기위해 덫을 놓고 투항을 유도하는 설경구의 연설신은 설득력마저 느껴진다.
‘10년 전에 사라진 나라를 붙잡고 도대체 무엇을 하느냐, 현실을 직시하라’는 뼈아픈 말은 역설적이게도 독립 운동가들의 희생을 떠올리게 한다.
희망조차 보이지 않던 암흑의 시기, 그들은 어떤 믿음을 갖고 자신들의 꽃다운 목숨을 바칠 수 있었을까? 그들의 희생정신과 애국심 덕분에 우리는 지금 이렇게 K콘텐츠가 전세계를 매료한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 고맙게 느껴진다.
'유령'은 미쟝센에도 공을 한껏 들였다. 소품 하나하나에도 스타일을 중시한 이 작품은 마치 서부영화의 영웅처럼 미화한 캐릭터들의 멋진 활약상을 통해 영화적 재미와 쾌감을 선사한다. 18일 개봉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