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2026년 생활폐기물 직접 매립 금지…시멘트 공장 연료화 방안 '주목'

2026년 생활폐기물 직접 매립 금지…시멘트 공장 연료화 방안 '주목'
지난 2019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폐기물재활용업체에 불법적으로 적치된 쓰레기가 산을 이루고 있는 모습.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종량제 폐기물의 직접 매립이 금지되는 가운데 기존의 소각·매립 방안 대신 시멘트공장의 연료화를 통해 폐기물을 해결하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이 같은 방안이 소각장 도입을 둘러싼 지역 갈등도 해결하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는 종량제 봉투의 직접 매립이 금지된다. 현재 종량제 봉투에 담긴 쓰레기는 소각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매립할 수 있지만, 3년 뒤에는 생활폐기물 중 약 40~60%는 골라내 재활용하고 나머지 생활폐기물만 소각한 뒤 매립해야 한다. 이에 지자체들은 매립 대신 소각장 도입을 추진 중이지만 일부 지역에서 격렬한 반대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쓰레기대란’ 해법에 시멘트 제조공정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시멘트는 원료인 석회석을 약 1450도의 초고온으로 용융시켜 시멘트를 제조하는데, 이 과정에서 화석연료로 전량 해외에서 수입하는 유연탄 대신 폐플라스틱 등을 대체연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탄소중립이 최대 현안인 업계는 대체연료의 확대를 주요 감축수단으로 삼고 있어 서로 윈윈 할 수 있다는 평가다.

앞서 시멘트업계는 지난 2019년 외신 보도로 국제적 망신을 샀던 ‘의성 쓰레기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한 바 있다. 당시 업계는 불법방치된 폐기물 총 20만8000t 중 절반에 가까운 9만5000t을 시멘트 업체의 대체원료로 재활용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 발생 생활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에 시멘트 제조공정을 활용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공정은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 중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해 분류하는 전처리업체와 이를 반입한 환경전문업체가 세척 후 가공해 연료로 자원화한 뒤 시멘트공장에 연료로 공급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협업시스템이 마련되면 소각 물량의 대폭 감소로 추가 소각장 확보가 필요 없어져 지역 반대에 따른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매립량도 적어져 각종 환경오염도 차단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시멘트업계도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탄소중립에 다가갈 수 있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생활폐기물 중 폐합성수지의 경우 화석연료인 유연탄 사용보다 이산화탄소(CO2) 배출계수가 21%가량 적기 때문이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전처리설비를 통해 선별분류돼 가공된 가연성 생활폐기물은 시멘트업계에서도 중요한 대체 연료로 각광받게 될 것"이라며 "의성 쓰레기산의 친환경 처리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시멘트업계를 중심으로 한 순환경제 모델 정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