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경남 하동군과 남해군을 잇는 노량대교에서 국토안전관리원 직원들이 주탑 케이블을 올라가 안전 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김서연기자
【파이낸셜뉴스 하동(경남)= 김서연기자】 "시설물 사고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교량 모든 곳을 꼼꼼히 확인하고 있습니다."
지난 19일 찾은 경남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의 노량대교 안전 점검 현장. 국토안전관리원 소속 직원 2명이 높이 148.6m에 이르는 주탑 케이블을 성큼성큼 걸어 올라가고 있었다. 주탑 케이블 육안 점검을 위해서다. 케이블과 연결된 안전고리에 의존한 채 케이블 위를 걸어가는 모습이 아찔했다. 하지만 점검 직원들은 아랑곳 하지 않고, 케이블 곳곳을 육안으로 꼼꼼히 살피며 확인했다.
지난 2018년 9월 준공된 노량대교(연장 990m)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일본 수군과 최후의 일전을 치르고 전사한 바다 위에 세워진 현수교다. 주탑이 수직으로 된 일반 현수교와 달리 8도의 경사각을 적용한 세계 최초의 경사주탑으로 건설됐다. 경남 하동군과 남해군을 잇는 해상 특수교량이다. 특수교량은 케이블을 이용해 상판을 공중에 매단 형식의 교량으로, 현수교와 사장교가 대표적이다.
국토안전관리원은 노량대교를 포함해 총 전국 31개 특수교량 점검을 담당한다. 이중 노량대교는 국토안전관리원 본부가 직접 관리한다.
강영구 국토안전관리원 특수시설관리실장은 "노량대교를 포함해 31개 특수교량 모두 통합관리계측시스템으로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관리원이 유지 관리 중인 특수교량 모두 국민들이 안심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통합관리계측시스템은 지진가속도 계측기, 초음파 풍속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해 재해·재난 발생시 교량에 대한 비상 체계 기준을 정상·관심·주의·경계 등 4단계로 구분해 알려준다. 노량대교에는 교량시설물 70곳에 계측기 등이 설치돼 있다.
강 실장은 "강풍, 차량 및 선박충돌 등으로 인한 이상이 감지되면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이 시스템은 공적개발원조(ODA) 방식으로 인도네시아에도 전파됐다"고 소개했다.
특히 노량대교는 교량의 안전과 재난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리프트 같은 유지 관리 시설물은 주 1회 이상 점검을 실시한다. 재난 발생시 가동하는 비상발전기 등은 2주에 1회 이상 시험 운전한다. 교량 시설물 전반에 대한 정기안전점검은 6개월마다, 정밀안전점검은 2년에 한번씩 이뤄진다. 점검자가 현장에서 육안 점검이 어려운 곳은 로봇이 투입된다.
점검 로봇은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면서 케이블 상태를 고화질로 촬영한다. 이 영상을 분석하면 육안 점검 때보다 훨씬 정확한 데이터를 얻고 작업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김일환 국토안전관리원 원장은 "해상 특수교량은 섬 지역 주민들의 편의 증진은 물론 관광객 유치 등 지역발전에도 기여하는 국가의 주요 자산"이라며 "모바일 점검시스템을 포함한 차세대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