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속도와 안정성을 강화한 SD카드와 마이크로 SD카드 신제품 '프로 얼티밋(PRO Ultimate)'을 출시한다. 사진=뉴시스
SK하이닉스 낸드플래시. 뉴스1
낸드 고정거래가격 추이 |
(달러) |
* 128Gb 16Gx8 MLC(메모리카드/USB향 범용) 기준 |
2022.06 |
4.67 |
2022.07 |
4.49 |
2022.08 |
4.42 |
2022.09 |
4.30 |
2022.10 |
4.30 |
2022.11 |
4.30 |
2022.12 |
4.14 |
2023.01 |
4.14 |
2023.02 |
4.14 |
2023.03 |
3.93 |
2023.04 |
3.82 |
2023.05 |
3.82 |
2023.06 |
3.82 |
2023.07 |
3.82 |
2023.08 |
3.82 |
|
(D램익스체인지) |
|
[파이낸셜뉴스] 반도체 불황의 여파가 가장 큰 낸드플래시가 메모리반도체 업계의 감산 확대 노력으로 연내 가격 반등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업황 조기 회복을 위해 낸드 감산 규모를 35%까지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2일 반도체 업계와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하락세를 이어가는 낸드 거래가격이 오는 4·4분기 상승 전환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구체적으로 올해 1·4분기와 2·4분기 각각 10~15% 하락한 낸드 가격은 3·4분기에는 5~10%로 하락폭이 둔화된 뒤 4·4분기에는 0~5% 올라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로 스마트폰·PC 등 정보기술(IT) 기기를 중심으로 탑재되는 낸드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과 서버 고도화에 따라 수요가 늘고 있는 D램이나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달리 거래 절벽이 유지되면서 반도체 업황 회복의 걸림돌로 지목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4·4분기부터 시작된 감산은 올해 4·4분기까지 감산량을 확대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는다. 김윤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 균형을 더욱 빨리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과감한 감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엔데믹 선언 이후 의류, 여행, 레저로 소비패턴의 중심축이 변화하면서 스마트폰·PC 등 응용처의 수요 회복이 예년에 비해 더 오래 걸릴 것이란 점을 이유로 꼽았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2·4분기 감산을 선언한 이후 낸드 생산량을 25% 줄였으며, 오는 4·4분기까지 감산량이 35%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SK하이닉스는 2·4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낸드 재고 수준이 D램보다 높고, 수익성이 나쁘다"라며 "5~10% 추가 감산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감산 효과로 인한 긍정적인 신호도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궈밍치 TF증권 연구원은 SNS를 통해 "지난 8월 삼성의 가격 인상에 이어 9월부터 마이크론도 낸드플래시 웨이퍼 계약 가격을 약 10% 인상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1·4분기 기준 합산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는 양사가 추가 감산에 나서면서 양사 실적 부진의 원인인 메모리 영역의 실적도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추가적인 감산 노력에도 PC를 중심으로 한 IT 수요부진과 최대 수요 시장인 중국의 부동산 침체 등 경제회복 지연으로 낸드 가격의 가시적인 상승은 내년 1·4분기에나 일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메모리 분야의 올해 장비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46% 급감하지만 내년엔 메모리 업황 회복과 함께 65% 상승한 270억달러(약 35조8236억원)를 기록할 전망이다. D램은 올해보다 40% 늘어난 150억달러(약 19조9050억원), 낸드플래시는 113% 증가한 121억달러(약 16조 567억원)의 투자규모가 예상된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