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해외여행, 인천까지 가지 마세요" 지방공항 '글로컬'이 살길 [공항 양극화시대 지방이 무너진다 <3>]

수요 늘리려면 국제노선 확대 절실
공항공사·지자체, 인센티브 제공.. 김해·대구공항 터미널 확충도
항공업계 "인센티브만으론 한계".. 수익 보전할 근본적 대책 요구

"해외여행, 인천까지 가지 마세요" 지방공항 '글로컬'이 살길 [공항 양극화시대 지방이 무너진다 <3>]
본격적인 글로벌 여객 회복 추이에도 상대적으로 저조한 지방 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과 세계를 잇는 '글로컬(글로벌+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방공항발 신규 국제선 노선을 발굴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마케팅, 인센티브 등을 통해 여객수요 회복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터미널 확대, 노선 개설 추진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는 인천을 제외한 전국 7개 지방 국제공항의 내년 국제선 여객수 목표를 코로나 직전인 2019년(2032만명)을 넘어서는 2200만명으로 잡고 있다. 이들 지방 국제공항의 올해 9월 누적 코로나 이전 대비 국제선 여객회복률이 56.6%라는 점을 감안하면 쉽지 않지만 글로컬 네트워크 전략을 통해 지방공항의 항공수요를 조기회복하고 신규수요 창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한국공항공사는 항공수요 대응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김해·대구공항 국제선 터미널 용량 확충에 나선다.

김해의 경우 내년 4월까지 국제선 터미널을 현재의 630만명 규모에서 830만명으로 200만명 늘릴 계획이다. 대구는 내년 5월까지 현재의 118만명에서 93만명 늘어난 211만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달 말부터는 정부, 지자체, 군과 협업해 청주 및 대구공항의 슬롯(시간당 이착륙 횟수) 증대를 추진한다. 청주공항의 시간당 슬롯을 1회 늘려 주 168편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연간 여객 54만명 및 운항 3650편 추가유치 효과가 기대된다. 대구공항은 시간대별로 탄력적인 슬롯조정을 통해 주 113편을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여객 16만명 및 운항 1095편이 추가유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는 이달 중순 개최 예정인 세계노선개발회의에 참석해 폴란드항공, 델타항공 등 15개 항공사와 노선개발을 위한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방공항 수요 회복을 위한 핵심국가인 중국 노선의 조기복원에도 적극 나선다.

■"현실적인 대안 필요" 목소리도

지방 국제공항발 노선운항 확대를 위한 항공사 대상 인센티브도 확대한다.

공사는 이를 위해 신규노선 개설 시 최대 3년간 50~100%까지 착륙·정류·조명료 등 공항시설 사용료를 감면하고 인바운드 노선에 대한 해외마케팅 활동에 최대 3000만원을 지원한다. 여기에 여행사 대상으로는 전세편당 최대 600만원의 모객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유화 지역 및 기존에 운수권을 이미 확보한 지역에 취항하려는 항공사를 발굴한다는 것이다. 김해~헬싱키(핀에어)·LA·샌프란시스코, 대구~싱가포르·베이징, 청주~베이징, 무안~옌지·장자제 등이 대표적이다.

지자체도 신규노설 지원에 나서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정기편 신규취항 시 중거리는 편당 500만원, 장거리는 편당 1000만원, 장거리 부정기편은 편당 15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대구시는 시에서 정한 정책노선 개설 항공사에 대해 탑승률 80% 미만 시 3억원 한도로 결손금을 지원한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국제선 운항편수 및 노선이 2019년 수준으로 조속 회복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업을 추진하고 항공사 홍보비 지원, 관광전세기 착륙료 감면 등 인센티브를 강화할 것"이라면서 "지역민의 장거리 여행 편의성 제고를 위해 지방공항 중장거리 운수권 확보 및 항공사 노선 개설을 지원하고 외항사 마케팅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노선 개설을 위한 항공사 유치를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제시하는 인센티브만으로는 지방 신규노선 개설이 크게 부담되는 게 사실"이라면서 "항공사들의 자율성을 보다 부여하고 보다 수익을 보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