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프로토 타입 개발
車 단독사고 사망자 30%가 노인
심박 측정기 등 달아 응급시 조치
남은 검증은 안전성과 법적 근거
"향후 페달 오조작 사고 예방 연구"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보조장치가 탑재된 차량 내부 모습 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매년 차량 사망사고 중 고령운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한국교통안전공단이 고령운전자 대상의 안전운전 보조장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교통안전공단은 나라장터에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보조장치 튜닝 검사 장비 구매 공고를 냈다. 공단이 요청한 검사장비는 자동차에 장착할 고령자 안전운전 보조장치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도구다.
교통안전공단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운전미숙에 따른 차량 단독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중 30%가 65세 이상 고령운전자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20대부터 40대까지의 사망자 비율이 평균 12% 수준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현저히 높은 수치다. 지난 2022년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 건수는 19만6836건으로 전년 대비 3.1% 감소했지만, 고령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 건수는 3만4652건으로 8.8% 증가했다.
이에 공단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블루인텔리전스, 이노카, 경기대학교와 협업해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보조장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고령운전자가 심혈관질환이나 실신으로 운전 불능 상태에 빠지는 등의 응급상황을 막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목표는 △긴급상황 비상정지 제어 △비접촉식 생체 모니터링 △e-콜(교통사고 긴급 통보장치) △위급상황 시나리오 △검증 및 제도화 등 일련의 과정들을 통합해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보조장치는 현재 프로토(초기형) 타입으로 개발이 완료된 상태다. 고안된 보조 장치는 △레이저 심박 측정 장치 △안면 인식 카메라 △보조 제동장치 △e-콜 단말기 등이 탑재돼있다. 지난해 9월에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산업안전 박람회에서 이같은 유형의 프로토 타입의 보조장치가 공개됐다.
다만, 상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검증을 거쳐야 한다. 공단이 구매 공고를 올린 검사장비 또한 보조장치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과정 중 하나다. 또한 새로운 기술이다 보니 보조장치를 튜닝하는 것에 대한 법적 근거가 모호한 점도 있어 공단은 국토부와 현재 논의중이다.
공단 관계자는 "이 외에도 보조장치 상용화 전까지 다른 연계사업이나 고도화 사업 통해 전방 레이저 센서, 전방 카메라 센서 등을 도입하겠다. 최종적으로는 자율주행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공단은 60세 이상 운전자가 전체 사고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페달 오조작 사고를 막기 위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신고된 국내 페달 오조작 사고는 82건에 달한다. 이중 60세이상 운전자는 약 40%를 차지한다. 공단은 오는 26일까지 '운전자 페달 오조작 방지 및 평가 기술 개발 기획' 기술수요 조사를 실시해 연구개발 사업지원 대상 선정에 들어갈 예정이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