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문화 >

'사랑 호르몬' 옥시토신, 새로운 효과 밝혀졌다..자폐·ADHD 치료에 새 길 [헬스톡]

'사랑 호르몬' 옥시토신, 새로운 효과 밝혀졌다..자폐·ADHD 치료에 새 길 [헬스톡]
자료사진. fnDB


[파이낸셜뉴스] ‘사랑 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시토신이 패배나 괴롭힘에 관한 기억에도 관여해 자기방어적 행동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먼 의대 다위린 교수 연구팀은 갈등을 겪은 생쥐들의 뇌 활동을 측정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로 옥시토신을 활용해 자폐나 사회불안 장애 등을 치료할 수 있을 전망이다.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경쟁 관계에 있는 실험쥐를 10분간 한 공간에 둬 갈등 전후의 뇌 활동을 측정했다. 그 결과 10분 동안 발생한 싸움에서 진 생쥐는 이긴 생쥐를 피해 다니는 후퇴 행동을 보였으며, 이런 후퇴 행동이 복측 시상하부의 전 복측(aVMHvl) 부분이 활성화될 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패배한 생쥐는 몇주 동안 자신을 이긴 생쥐를 피해다녔다. 이 과정에서 뇌의 복측 시상하부의 전 복측(aVMHvl) 부분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싸움이 시작된 후 고통을 받으면 aVMHvl 바로 옆 뇌세포에서 분비된 옥시토신이 주변 수용체에 결합해 생쥐에게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패배한 생쥐는 24시간 후 사회적 상호작용이 패배 전보다 20%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구팀은 패배한 생쥐에게 aVMHvl 세포 수용체가 옥시토신과 결합하지 못하게 하자 자신을 이긴 생쥐와 마주쳐도 피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반대로 aVMHvl 세포를 활성화하면 생쥐는 싸움을 하지 않아도 상대방을 피해 다녔다. aVMHvl이 결국 패배 후 자기방어에 관여하는 핵심 열쇠라는 의미다.

린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사회적 회피 행동에 작용하는 옥시토신의 역할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이를 활용해 자폐증, 사회불안,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같은 장애에 대한 치료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