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
기업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 전환
2兆대 그친 매출 50% 이상 확대
전략기술 개발· 부품 국산화 추진
전문인력도 1만명까지 육성키로
정부가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오는 2026년까지 우주기업 총매출 4조원, 전문인력 1만명을 육성하고 창업기업도 130개로 확대키로 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11월 5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뒷받침하기 위한 세부 전략이다.
이번에 마련한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5년 단위 실천계획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12개 정부 부처청이 함께 마련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27일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은 2022년에 발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과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른 세부 실천계획"이라며 "3월 중 국가우주위원회 산하 실무위원회를 개최해 최종 의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우주산업화 전략은 향후 우주항공청이 맡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3차 우주산업화전략의 핵심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게 정부 주도 우주개발에서 벗어나 민간 주도로 전환, 산업체질을 개선하고 우주 서비스 산업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추진하는 3가지 큰 방향은 사업방식 전환과 인프라 확충을 통해 기업들의 자생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 첨단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통해 신시장을 창출하며, 기반 구축 형태로 우주산업을 지원해 글로벌 시장 진출과 시장점유율 확보를 노리고 있다.
우주경제 실현을 위한 우주산업의 국가주력산업화라는 비전 아래 우주기업의 총매출액을 2026년까지 4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국내 우주기업의 매출액은 2021년 2조5697억원으로 최근 몇 년간 정체 상태였지만 정부 전략을 통해 매출 증가율을 55.6%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전략기술을 우주개발사업에 적용하는 것을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창출키로 했다. 2025년부터 12대 전략기술을 포괄하는 미래 중점기술을 발굴하고 사업화할 예정이다. 특히 우주부품 국산화를 위한 '미래 우주경제 주춧돌 확보사업'을 통해 핵심 부품·소자 국산화 및 공급망 관리를 추진한다.
아울러 2017~2021년 새로 진입한 우주기업이 총 100여곳에 불과했지만 2022~2026년 창업기업을 130개로 확대하기 위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위해 펀드와 보증, 보험 등 단계별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우주기업 인력도 7317명에서 2026년까지 36.7% 늘려 1만명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