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한국적 소재에 깃든 치밀한 '세월의 흔적' [손이천의 머니&아트]

손응성 '도자기'

한국적 소재에 깃든 치밀한 '세월의 흔적' [손이천의 머니&아트]
손응성 '도자기' 케이옥션 제공
우리나라 극사실주의 회화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손응성(1916~1979)은 1916년 강원도 평강에서 태어나 배재고보에 재학 중이던 1934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 특선을 수상하며 화단에 데뷔했다. 그후 일본인 교사의 추천으로 일본으로 유학, 다이헤이요(太平洋) 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그는 1937년과 1939년에도 선전에 입선했고, 일본에서 공부를 마치던 1940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받았다. 그 이후에도 손응성은 선전에서 입선을 거듭하고, 1954년 대한미협전에서 대통령상을, 1974년에는 대한민국예술원 미술상을 받는 등 작가로서 인정받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타계할 때까지 단 한 번도 개인전을 갖지 못한 '비운의 작가'로 회자되기도 한다. 광복 후에는 홍익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는데 힘을 쏟기도 했다.

손응성은 주로 놋그릇, 도자기, 배, 석류를 비롯해 고궁, 고가구, 불상 등 한국적인 소재를 치밀하고 뛰어난 묘사력으로 화면에 담았다. 정물화는 단순히 사물을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금이 가고 얼룩진 세월의 흔적 하나까지 그렸는데, 원근법을 무시하고 대칭적인 구도나 평면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창덕궁의 비원을 즐겨 그려 '비원파(秘苑派)'라 불리는 사실주의 화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사실주의에 정감적인 요소를 농밀하게 담아 그만의 양식을 만들어냈다. 1979년 작고한 후 1989년 서울 롯데미술관에서 '유작전', 1991년 한원갤러리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전', 그리고 1997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한국 근대미술: 유화-근대를 보는 눈' 전시 등을 통해 그의 작품이 소개됐다. 케이옥션 3월 경매에 출품된 손응성의 소품 '도자기'(1970년·사진)의 경매 추정가는 500만~2000만원이다.

케이옥션 수석경매사·이사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