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제조·서비스업 등 경제 전반 도입
전국민 AI활용 확산에도 7102억
대형 R&D 통해 AI고급인재 양성
4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AI전략 최고위 협의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에 관련 업계 대표들이 참석했다. 왼쪽부터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유영상 SKT 대표,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뉴스1
인공지능(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해 국가 차원의 AI 혁신의 방향을 이끌 민관 AI 최고위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가 출범했다.
우리나라가 제조·서비스업 등 경제 전반에 AI를 성공적으로 도입시 연간 310조원(20226년 기준)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전국민의 일상 속 AI 활용 확산을 위해 710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AI 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식을 가졌다. 협의회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정책일반, AI반도체, 연구개발(R&D), 법·제도, 윤리안전, 인재 등 AI 분야를 대표하는 민간 전문가 23인과 과기정통부 등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인 등 총 32인으로 출범했다.
민간 위원으로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영상 SKT 대표, 김영섭 KT 대표,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유회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과기정통부가 공개한 G3 도약을 위한 민관 합동전략인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에 따르면 제조·서비스업 등 경제 전반에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경우 연간 310조원에 달하는 경제효과가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가 국내총생산(GDP) 증대로 이어질 경우 연 평균 1.8%포인트 수준의 추가 경제성장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글로벌 수준의 AI 기술혁신 △제조·서비스업 등 전산업 AI 대전환 △국민 일상에 선도적 AI 도입 △디지털 신질서 정립 등 4가지 분야 핵심 정책과제에 따라 정책을 추진한다.
AI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형 R&D 프로젝트를 비롯해 AI 고급인재 양성 등 기술혁신을 추진하고, 산업 분야·업종별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AI 도입·확산 전략을 수립한다. 또 본격적인 AI 시대를 맞아 올해 국민들이 일상에서 피부로 체감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AI를 중심으로 새로운 규범 마련을 위해 정책 연구 등에 돌입하며, 고령자와 다문화, 농어촌 등 디지털 격차 완화에도 나선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AI의 사회적 영향이 막강하다보니 법 제도, 정책, 윤리 규범도 중요하지만 기술혁신, 산업화, 서비스도 함께 가야한다"며 "치열한 토론이 벌어지고, 즉시 조치가 이뤄지는 그런 협의회가 되도록 대통령실에서도 신경쓰고, 힘을 싣겠다"고 밝혔다.
이종호 장관도 "국민과 기업이 빠르고 확실하게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후속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회 산하에는 △반도체 △R&D △법제도 △윤리안전 △인재양성 △AI바이오 등 6개 분과가 운영된다. 또 국내 100여개 이상 초거대 AI기업과 중소·스타트업으로 구성된 '초거대AI추진협의회'를 외부 민간 자문단으로 두고, AI 혁신생태계 구현을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 등 정책 제언을 수렴하고 민·관 상시적 소통 채널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