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1년 새 '억'소리나게 뛰어도… 서울 아파트 전세 '귀한 몸'

전세가격지수 전년동월비 4.2%↑
56주 연속으로 오르며 평균 6억대
"빌라 포비아·금리 인하가 주 원인"
수급지수도 상승세 '공급난 가중'
강동에 물량 쏠려 불균형 문제도

1년 새 '억'소리나게 뛰어도… 서울 아파트 전세 '귀한 몸'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인근 공인중개사는 하루에도 수십번 전용 39㎡ 집주인들에게 전화를 건다. 전세 계획이 있는지 묻기 위해서다. 전셋값이 4억원대에 형성돼 신혼부부들이 신축 전세를 찾는 경우가 많다. A공인중개사는 "심리적으로 5억원 미만으로 전세대출을 찾는데 서울 내 저렴한 신축 매물이 많지 않다"며 "예전이면 빌라 전세에 들어갔겠지만 요새 세입자는 무조건 아파트를 찾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B씨는 1년 전 송파구 헬리오시티 전용 84㎡ 전세를 계약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있다. 지난해 6월 8억원대 전세매물도 있었지만 최근 전세계약은 10억7000만원에 실거래됐기 때문이다. 실제 KB시세에 따르면 이달 기준 헬리오시티 전용 84㎡는 10억5667만원이다. 전년동월 9억6667만원 보다 약 9000만원이 올랐다.

서울 아파트 전세값이 한강 이남권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고금리 등으로 매매시장이 위축되면서 아파트를 사기 보단 임대를 선택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데다 아파트의 전세매물 및 입주 물량 감소로 공급이 부족한 것도 이유로 꼽힌다. 빌라 전세사기 여파로 아파트 선호가 뚜렷해지면서 당분간 전셋값 상승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13일 KB부동산 '서울 월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에 따르면 전셋값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값은 1년 전과 비교해 4% 이상 올랐다. 지난달 전세가격지수는 전월 및 전년동월 대비 각각 0.4%, 4.2%가 올랐다. 1년 새 전세가격이 급등한 셈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로도 6월2주차 전셋값은 56주 연속 상승했다. 다만, 2년 전인 2022년 5월과 비교해선 12% 하락했다. 전세를 찾는 사람이 늘면서 전세값은 오르고 있다. KB부동산 서울전세수급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138.2를 기록했다. 100을 초과할수록 전세 공급부족을 의미한다. 전세수급지수는 지난해 8월(112.7) 100을 돌파한 후 오름세다. 전국 평균인 116.1 보다 서울이 더 전세수요가 높은 셈이다.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6억58만원이다. 전년동월 5억7094만원 보다 약 3000만원 더 비싸졌다.

수요는 늘고 있지만, 전세매물은 줄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서울 전세 매물은 2만8826건으로 전년동일 3만4558건과 비교해 16.6% 감소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은 2만3830가구다. 최근 3년간 평균 입주물량 3만198가구 보다 6368가구가 적은 규모다. 더욱이 입주물량에서 1만가구 가량이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에 쏠려 있어 지역별로 수급 불균형도 만만치 않다.

전문가들은 빌라포비아 등으로 전세 선호현상이 두드러지고 금리가 떨어진 영향도 있다고 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전세대출 금리는 올 4월 3.91%로 전년동월 4.11%보다 하락했다. 금리가 떨어지면서 대출은 늘었다. 지난달 전국 전세대출 잔액은 전달인 4월보다 7000억원 증가했다. 전년동기에 전세대출 잔액이 6000억원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이다.

부동산 업계는 2020년 7월 임대차법 도입 이후 2+2년 만기 도래 매물은 2022년이후 나오고 있어 4년치 임대료를 한꺼번에 올려 받는 매물이 쏟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위원은 "임대차2법으로 4년치 임대료가 한번에 호가에 반영되다보니 전세가를 높이는 심리적인 불안요인으로 작용한다"며 "다만 높은 호가가 실거래로는 이어지지 않고 심리적 요인에 그치는 경우도 적지않아 가격상승 요인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안정적인 아파트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아파트 민간등록임대사업자' 제도를 부활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인베이드투자자문 이상우 대표는 "다주택자를 활용해 민간의 전세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연지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