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지원금 美의 71분의 1 수준..."韓, 수소환원제철 지원 늘려야"

지원금 美의 71분의 1 수준..."韓, 수소환원제철 지원 늘려야"
지난 6월 26일 포스코 직원이 언론 최초로 공개한 수소환원제철 하이렉스 공정 일부 설비에서 일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철강업계의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위해서는 기업 노력뿐 아니라 정부 지원 등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수소환원제철은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기술로 기존 방식과 달리 철강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선진국 대비 韓 정부 지원금 현저히 낮다"
기후솔루션은 3일 서울 광화문 HJ비즈니스센터에서 '수소환원제철의 7국 경제성 비교'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은 포함한 정책 제언을 발표했다.

기후솔루션이 국내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위해 필요하다고 한 것은 크게 △정부 지원 확대 △그린 수소·재생에너지 확대 및 생산단가 저감 △배출권거래제 개선 등 3가지다.

이 가운데 가장 시급한 것은 정부 지원 확대다. 김다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글로벌 철강사를 보유한 선진국 대비 국내 정부 지원금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며 "현 수준 정부 저탄소 기술 지원 규모가 유지된다면 국내 철강산업은 사업성이 높은 해외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산업 경쟁력은 약해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전기로 등 철강산업 전환에 필요한 비용은 약 40조원 가량인데, 현재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관련 정부 지원금은 188억원에 불과하다. 최근 스웨덴 'H2그린스틸'에 2억5000만유로(3750억원)을 지원한 유럽연합(EU),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10억달러(약 1조3500억원)를 지원한다고 발표한 미국 등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기술 발전 속도도 느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내 관련 산업에서 가장 앞섰다고 평가 받는 포스코는 2030년 이후에나 자체 그린 수소환원제철 공정 기술 '하이렉스' 개발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 수소 생산 단가 높다..."재생에너지 확대해야"
기후솔루션은 현재 국내 그린 수소 생산 단가가 주변국 대비 높다는 점을 설명하며, 이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산업 조사기관 블룸버그NEF 자료에 따르면 미국, 영국, 중국, 브라질 등의 그린 수소 생산가격은 1㎏당 5달러인 반면 한국은 1㎏당 10달러 전후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그린 수소는 수소환원제철 공정 원가의 상당 부분인 31%를 차지한다"며 "그린 수소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그린 수소) 생산에 사용되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향후 격차를 줄이는 과제도 남아 있다. 산업부는 2030년 그린 수소 생산 단가를 1㎏당 3500원, 약 3달러 전후로 잡았는데 블룸버그 NEF는 같은 시기 주변국의 평균 생산 단가가 1㎏당 2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후솔루션은 정부가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수소법 제5조) 변경을 통해 그린 수소, 재생에너지를 적극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가 수소환원제철 생산 목표에 맞는 산업부문 수소 수요 예측량을 세우고 철강산업 발전전략을 국가 에너지 계획과 연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이밖에도 배출권거래제 개선을 통해 현저하게 낮은 탄소가격을 국제 수준으로 올리고 기업의 저탄소 설비 투자 회수에 긍정적 신호를 부여해야 한다"며 "정부의 유상할당 비중 조정 등을 통해 기후대응기급 재원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