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역대 산업장관들의 고언… "위기 닥친 삼성, 반도체 생태계 조성하고 산학연 소통하라"

한경협, 역대 산업장관 초청 대담
"반도체 패권 위해 정부 지원 시급"
윤상직 "반도체 기술은 생태계 싸움"
이창양 "제때 경쟁력 다지기 나서야"
이윤호 "조직 긴장도가 많이 떨어져"
성윤모 "기본으로 돌아가 점검 필요"

역대 산업장관들의 고언… "위기 닥친 삼성, 반도체 생태계 조성하고 산학연 소통하라"
이윤호 전 지식경제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역대 산업부장관 초청 특별대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 이창양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윤상직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윤호 전 지식경제부 장관, 성윤모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호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경협 제공
"생태계 조성하고 산학연 소통하라. 기민하게 안테나를 세우고 고도의 인텔리전스(정보수집 능력) 발휘해야."

역대 산업부 장관들이 위기론에 맞닥뜨린 삼성에 대해 내놓은 고언이다. 최근 삼성의 위기는 반도체 산업 구조 변화와 기술 고도화에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구축, 조직문화 혁신, 오픈 이노베이션 강화, 산학협력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4일 역대 산업부 장관을 초청해 우리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삼성 위기와 관련한 질문을 받은 역대 장관들은 내부 혁신과 외부 생태계 조성을 가장 큰 과제로 언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이종호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앞으로 어떤 기술이 나올지 한 회사가 알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며 "실질적인, 정말 유의미한 산학협력을 제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상직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삼성의 위기는 인텔의 위기와 다르다"면서 "최근엔 기술이 어디로 발전할지도 모르고, 어떤 인력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삼성은 생태계를 주면 된다. 반도체 기술은 생태계 싸움"이라고 강조했다.

이창양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삼성의 위기를 환절기 감기에 비유했다. PC에서 모바일 시대가 왔듯 AI 시대로 넘어오는 '환절기'에 감기에 걸렸다는 것이다. 이 전 장관은 그러면서 "이때 정신을 차리고 제대로 다시 자기의 본질적인 경쟁력을 다지기 시작하면 아마 그런 건 충분히 넘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조직문화, 기업문화의 쇄신도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삼성은 오픈 이노베이션에 취약하다. 개방된 혁신 노력이 부족하다"며 "선두 그룹다운 고도의 기술 안테나, 경영 안테나를 세워 어떤 기술들이 자라나고 있는지를, 또 다른 경쟁기업들이 뭘 하고 있는지를 계속 서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윤호 전 지식경제부 장관 역시 "삼성이 D램의 성공에 너무 안주했다. 조직 긴장도가 많이 떨어져 있다"고 언급했다. 성윤모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기본으로 돌아가 사업의 방향과 속도를 점검하고 세밀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반도체 패권을 지키기 위해 직접 보조금을 포함한 정부의 전방위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이대로 가다가는 국내 반도체 생산능력이 중국과 대만에 갈수록 뒤처질 수밖에 없고, 인공지능(AI) 등 첨단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 싸움에서도 패배할 것"이라며 "우리도 미국 등 주요국처럼 보조금 지급이나 직접 환급제도와 같은 실질적인 지원책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재료공학부)는 주제 발표에서 "현재 D램 성능 향상 추세가 향후 5년 내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수직 구조 낸드플래시와 유사한 적층형 3D D램 구조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향후 극자외선 노광장비(EUV) 및 관련 기술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해 한국이 후발국가 대비 보유한 D램 분야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황 석좌교수는 중국의 급격한 추격이 가장 큰 위기 요인이라고 봤다. 그는 "국내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더딘 발전과 메모리 분야 경쟁력 저하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장래에 불안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며 "국가적 지원에 힘입은 중국 반도체 기업의 메모리 분야 진출은 향후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큰 도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김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