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탐욕 끝엔 파멸… "현대인의 딜레마와 닮았죠"

창작뮤지컬 '맥베스' 재연
스코틀랜드 '왕위쟁탈전' 배경
신재훈 연출, 감정 서사에 초점
"주인공의 욕망보다 불안 주목"

탐욕 끝엔 파멸… "현대인의 딜레마와 닮았죠"
사진=서동일 기자
"멕베스의 욕망보다 불안에 주목했죠."

서울시뮤지컬단의 창작뮤지컬 '맥베스'가 오는 12월 12~29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재연된다. 초연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공연에서는 연출, 안무, 영상에 변화를 줬다. 재연은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데 탁월한 신재훈 연출(사진)이 맡았다.

최근 세종문화회관에서 만난 신 연출은 "셰익스피어 작품 중 '맥베스'를 가장 좋아한다"며 "맥베스하면 욕망이라는 단어를 가장 먼저 떠올리나 저는 맥베스와 그의 아내 맥버니의 마음 속 격랑을 들여다봤다"고 말했다.

원작 '맥베스'는 11세기 스코틀랜드의 왕위 쟁탈전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간 욕망과 파멸을 다룬다. 초연에서 김은성 작가와 박천휘 작곡가는 긴 서사를 압축하고 다양한 음악적 접근을 시도했다. 특히 레이디 맥베스에 '맥버니'라는 이름을 부여하고 능동적 여성 캐릭터로 재창조했다. 맥베스에게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는 원작 속 세 마녀는 맥베스의 아버지, 그의 죽은 아들, 젊은 시절 맥베스의 환영으로 설정했다.

신 연출은 김 작가의 각색본이 원작과 다른 지점을 보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던컨왕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뒤 둘의 생각이 변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그 계기가 외부의 큰 사건이 아니라 심경 변화가 상당부분 차지한다"며 "이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본은 초연과 단 한 줄도 바뀌지 않았다"면서 "대본을 보는 관점이 달라진 것"이라고 부연했다. 초연에선 맥버니의 존재감이 상당히 커 일각에선 '제목이 맥버니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신 연출은 "욕망의 덩어리인 맥버니의 존재감은 여전하다"면서도 "그보다는 희망과 격려에 부담을 느낀 맥베스의 불안감에 대한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맥베스가 불안하고 연약한 상황을 드러낸다면, 맥버니는 울분과 복수를 실행에 옮기는 행동주의자로 둘은 서로 대비된다. 비록 맥버니가 맥베스를 자극하지만, 최종 결정은 맥베스가 한다. '넌 왜 이렇게 약하니''넌 이겨낼 수 있어'등 책망과 희망, 격려가 뒤엉킨 말을 쏟아내는 세 환영의 목소리를 따른다."

신 연출은 맥버니 캐릭터에 대해 "(권력욕보다는) 어린 아들의 죽음 등 전쟁으로 집안이 풍비박산이 나면서까지 남편과 자신이 많은 것을 희생했는데, 기대에 못 미치는 보상에 대한 분노가 왕에 대한 복수심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원하는 것을 얻고도 불면증에 시달리는 맥버니에게서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봤다.


그는 재독 철학자 한병철의 '피로사회'에서 지적한 '할 수 있다'는 긍정성 과잉과 성과사회의 부작용을 언급하며 "누굴 죽이고 왕권을 얻었는데, 나다운 본질과 멀어진 게 아닌가. 낮엔 목표를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다 해가 지면 고민과 불안 등으로 잠 못이루는 우리시대 관객과 만나는 지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유회웅 안무가가 새롭게 합류하면서 생긴 변화도 언급했다. 그는 "전쟁신이나 결투신이 많이 나오는데, 해당 장면의 생생한 묘사보다 그 장면의 메시지를 담고자 했다"고 말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