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탄소중립 핵심 SAF
에너지장관 지명자 기후위기 부정
트럼프 기조 vs EU 확대정책 충돌
국내 정부 대비·지원책 마련 시급
트럼프 2.0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지속가능항공유(SAF) 공급망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의 SAF 사용 확대 정책과 트럼프의 친화석연료 기조가 충돌하면, 글로벌 SAF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대비해 국내에서도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4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따르면, 미국은 전 세계 SAF 생산 시설 359개 중 약 30%에 해당하는 107개를 보유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SAF 연간 생산능력은 392억7000ℓ로, △캐나다 67억8000ℓ △중국 53억6000ℓ △프랑스 18억1000ℓ 등 주요국을 압도한다.
SAF는 기존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항공 연료다. 주로 식물성 기름,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활용해 생산된다. 기존 항공유와 혼합 사용이 가능하며 연료 사용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어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실현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SAF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글로벌 SAF 수요는 2022년 24만t에서 2030년 1835만t으로 약 70배 늘어난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이 SAF 공급망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는 과거 파리기후협정 탈퇴를 선언했으며, 기후위기 부정론자인 석유기업 최고경영자(CEO)를 에너지장관에 지명한 바 있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재집권 시 △화석연료 증산 △재생에너지 지원 축소 △친환경 정책 후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글로벌 SAF 공급을 주도하는 미국이 생산과 공급을 줄일 경우 가격 인상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SAF 공급망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정부 지원책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전담팀(TF·태스크포스)에서 내년 상반기 SAF 의무화 정책 발표를 목표한다는 방침이다.
김재훈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글로벌 SAF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 인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며 "SAF 공급 시설에 조 단위 규모 투자가 필요한 만큼 2030년까지 SAF 의무화 정책 마련과 함께 국가 단위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SAF 전용 생산라인은 단 2곳(에쓰오일, SK에너지)에 불과하다.
국내 항공업계도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을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SAF 혼합 비율 의무화가 앞으로 여러 노선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SAF 단가를 낮추기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이동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