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GM, LG엔솔 합작공장 발 뺐다...中CATL과 손잡나

LG엔솔, GM 합작 美배터리공장 인수 추진
준공 앞둔 미시간주 얼티엄셀즈 3공장
캐즘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 기조 고려해
GM 전기차 전환 속도조절 '지분 매각'
LG엔솔은 북미 단독 공장 확보 "고객사 다변화"
LG·GM 협력은 지속 "각형 배터리 차세대 전기차 탑재"

GM, LG엔솔 합작공장 발 뺐다...中CATL과 손잡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소재 LG에너지솔루션 본사. 사진=뉴스1

GM, LG엔솔 합작공장 발 뺐다...中CATL과 손잡나
미국 제너럴 모터스(GM) 디트로이트 본사 전경. GM 제공

GM·LG에너지솔루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공장
구분 생산능력
미국 오하이오주 1공장 연 40GWh
미국 테네시주 2공장 연 50GWh
미국 미시간주 3공장 연 50GWh(LG에너지솔루션 단독 공장 추진)

[파이낸셜뉴스]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해 건립 중인 미국 배터리 공장(얼티엄셀즈 제3공장) 지분을 LG에너지솔루션에 넘기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한 총 3개 공장 중 1개 공장에서 발을 빼기로 한 것이다. 저가형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로 공급선을 다변화하겠다는 게 GM의 속내로 풀이된다. 전기차 수요 부진에 따른 속도조절도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다.

■GM, 中 배터리 확대 검토
GM은 2일(현지시간)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투자해 미국 미시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3공장에 대한 지분을 LG에너지솔루션에 전량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기차 수요 부진을 이유로 3공장 완공 시점을 차일피일 미루다가 공장 지분 정리 카드를 뽑아든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3공장 지분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3공장 지분 매각·인수 완료 시점은 내년 1·4분기다. 3공장엔 양사 합산 26억 달러(약 3조6500억원)이 투입됐으며, 지분 매각으로 GM이 확보할 투자 회수금은 약 10억 달러(1조4000억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의 3공장 지분을 전량 인수, 단독으로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GM과 LG에너지솔루션간 합작공장은 총 3개(미국 오하이오주 1공장, 테네시주 2공장, 미시간주 3공장)에서 2개로 조정됐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GM의 3공장 지분 매각에 대해 저가 중국산 LFP로 배터리 공급처를 다변화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테슬라 출신으로 올초 GM에 영입된 커트 켈티 GM배터리 담당 부사장은 지난 10월 투자자 대상 설명회를 통해 "북미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사용을 늘리겠다"며 저가용 배터리 공급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배터리 전략 원점 재검토를 시사했다. 배터리 생산비용 감축 작업 부진, 각형 배터리 수요 등이 LG측와의 관계 재조정이 추진된 이유로 지목된다. GM으로선 3만 달러 이하의 저가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저가 배터리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내년도 출시가 유력한 소형 전기차 쉐보레 볼트에 중국 CATL 배터리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LG엔솔, 도요타와 손잡나
LG에너지솔루션은 3공장을 현지 거점으로 삼아 고객사 다변화에 나서겠다는 복안이다. 현재로선 GM 외의 완성차 물량 확보가 숙제다. 3공장 생산 물량 고객사의 유력한 후보로는 도요타가 꼽힌다.
LG에너지솔루션과 도요타는 지난해 연간 20기가와트시(GWh) 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는 이번 3공장 지분 정리에도 불구,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각형 배터리 개발,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GM의 4공장 합작 파트너사인 삼성SDI는 "GM측으로부터 관련한 제의나 협의요청이 없었다"고 밝혔다.

ehcho@fnnews.com 조은효 최종근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