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지역의 힘, 혁신의 날개' 규제자유특구 혁신 주간 '스타트'

'지역의 힘, 혁신의 날개' 규제자유특구 혁신 주간 '스타트'
세종시 어진동 중소벤처기업부.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17일부터 19일까지 '규제자유특구 혁신 주간'을 개최한다. 우수한 규제자유특구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제협력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17일 중기부에 따르면 오는 19일까지 3일간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규제자유특구 혁신 주간의 슬로건은 '지역의 힘, 혁신의 날개'다.

특히 이번 행사는 규제자유특구 성과 공유와 글로벌 혁신특구 본격 시행에 따른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특구 주간 첫날인 이날은 개회식과 함께 권역별, 국가별 전시관 개관, 2024년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27명의 유공자를 표창하는 시상식이 진행됐다.

또한 규제자유특구 성과확산 심포지움에서는 특구 관련자들이 참여해 규제자유특구 우수사례 등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특구의 발전 방향과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오는 18일에는 '글로벌 협력으로 여는 규제혁신의 미래' 라는 주제로 UL솔루션 정륜 한국대표의 기조강연을 진행된다. 아울러 영국, 일본, 에스토니아 등 글로벌 혁신특구 해외 협력기관 대표 및 국내 핵심 기업이 참여하는 미래 포럼이 진행될 예정이다.

마지막 날인 19일에는 '한일 바이오 혁신생태계 커넥트'가 개최된다. 한·일 양국의 바이오 분야 협력 활성화 방안과 이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규제자유특구는 신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를 유예하고,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을 자유롭게 실증함으로써, 신기술·신산업의 표준을 정립하고 국내·외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2019년 규제자유특구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지난 5년간 전국에 39곳의 특구가 지정됐다. 실증을 통해 44개 규제 법령을 정비, 15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 7100여명의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거뒀다.

올해는 부산, 강원, 충북, 전남 등 4개 글로벌 혁신특구가 지정됐다. 이곳에선 전면적 네거티브 실증 특례가 적용되며, 해외실증과 국제공동 연구개발(R&D)를 지원한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규제자유특구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창업을 촉진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원동력"이라며 "중기부는 앞으로도 규제자유특구가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