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말 잘 듣는 OS 탑재한 LG전자 2025년형 ‘올레드 에보’ 공개 [CES 2025]

AI가 사용자 취향까지 분석해 초개인화 경험 제공하는 웹OS25 탑재

말 잘 듣는 OS 탑재한 LG전자 2025년형 ‘올레드 에보’ 공개 [CES 2025]
LG 올레드 에보(모델명: M5)가 집 안 공간에 조화롭게 배치된 모습. LG전자 제공

[라스베이거스(미국)=임수빈 기자] LG전자가 7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으로 초개인화 경험을 제공하는 2025년형 LG 올레드(OLED) 에보를 공개한다.

LG전자는 디스플레이 알고리즘과 유기 화합물 적층 구조를 바꾼 새로운 밝기 향상 기술을 적용해 최대 밝기가 일반 올레드 TV(B5 모델) 대비 3배에 이르는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를 올해 CES에서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뛰어난 화질∙음질을 인정받아 미국소비자협회(CTA)가 수여하는 CES 2025 혁신상에서 영상과 화질 분야 최고 혁신상(G5 모델)을 비롯해 총 5개 혁신상을 받았다.

신제품은 매직리모컨(인공지능리모컨)에 AI 전용 버튼을 탑재해 AI 기능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고객이 AI 버튼으로 TV를 켜면 ‘AI 웰컴’ 모드로 진입한다. AI가 날씨, 시간 등에 맞는 인사와 함께 TV 사용 이력 등을 분석해 콘텐츠를 추천하는 등 TV를 켜는 순간부터 AI 기반 초개인화 사용 경험을 즐길 수 있다.

시청 도중 AI 버튼을 길게 누르면 ‘화질·사운드 모드 설정’이나 ‘시청 이력에 기반한 콘텐츠 검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질·사운드 모드를 바꿀 때 '따뜻한 화면', '사람 음성을 더 또렷하게 해줘' 등으로 말하면 AI가 약 16억 개 화면 모드와 4000만 개 사운드 모드 가운데 고객의 요청사항에 최적화한 예시 모드를 제안해준다.

올해 LG 스마트 TV에 탑재되는 웹운영체제(webOS) 25는 대형 언어 모델(LLM)을 적용, 고객 발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추론하는 능력이 발전했다. 예를 들어 '프로레슬러 출신의 배우가 나오고,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액션영화 보여줘'와 같은 복합적인 질문도 정확히 이해하고 답변해준다.

LG 올레드 TV는 여러 글로벌 매체로부터 ‘최고의 게이밍 TV’로 꼽히며 차별화된 게이밍 성능을 인정받아 왔다. 2025년형 LG 올레드 TV는 업계 최초로 4K 콘텐츠를 최대 165㎐ 가변주사율로 표현한다. 특히 엔비디아의 ‘지싱크 호환’과 AMD의 ‘프리싱크 프리미엄’ 등 그래픽 기술을 적용해 화면 전환이 빠른 게임도 부드럽게 보여준다.

아울러 LG 올레드 TV의 무선 AV 전송 솔루션은 4K·144㎐ 주사율 영상을 손실·지연 없이 무선 전송하는 기술이다. 특히 무선 환경에서도 지싱크 호환, 프리싱크 프리미엄 등 화면 끊김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적용해 고화질 콘텐츠와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LG전자는 올해 무선 TV 라인업을 올레드(M5)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LCD TV ‘LG QNED 에보’로도 확대한다. 이로써 TV 화면 주변에 전원 외 모든 연결선이 없어지는 공간의 자유로움을 보다 많은 고객이 누릴 수 있도록 한다.

박형세 LG전자 MS사업본부장(사장)은 “LG 올레드 TV는 지난 2013년 첫 등장 이후 세상에 없던 자발광 시청경험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TV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더 선명해진 화면과 더 똑똑해진 AI 기반 웹OS 플랫폼을 앞세워 전 세계 고객에게 몰입감 넘치는 시청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