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기자간담회 나선 한종희 "'알잘딱깔센' 홈AI로 초격차 확보"[CES 2025]

- CES 2025 삼성전자 대표이사 간담회 "AI가 바꿀 홈AI의 미래 청사진 제시" - 원하는 바를 알아서 잘, 깔끔하고 센스 있게 맞춰주는 '홈AI' -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연결된 기기들이 상황에 맞는 기능을 수행 - 업의 본질은 최고 수준의 품질 확보와 고객 중심의 초격차 기술혁신 - AI 컨트롤 타워, 연구소·사업부에 AI 전담조직 신설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이 "인공지능(AI) 기능이 탑재된 제품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서, 제품 간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알아서 잘, 깔끔하고 센스 있게 맞춰주는 '홈AI'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한 부회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5 현장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삼성전자가 제시하는 '홈AI'는 10년 이상 축적해 온 스마트 홈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고객 관점에서 더욱 고도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올해 CES 2025에서 AI 기술과 스마트싱스로 연결성을 강화하고, 다양해진 주거 형태와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한층 개인화된 AI 경험을 할 수 있는 '홈AI'를 선보였다.

한 부회장은 제품 간 연결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등 우려에 대해 "'홈AI'를 구현하는 데 있어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며,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제품은 업계 최고 수준의 다중 보안 시스템인 '녹스 매트릭스'와 '녹스 볼트'로 보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녹스 매트릭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상태를 상호 점검하다가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려 준다. 녹스 볼트는 비밀번호, 생체 인식 데이터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별도 하드웨어 보안 칩에 저장해, 운영체제(OS) 기반 정보 유출이나 물리적인 해킹 공격으로부터 중요 정보를 보호한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안전 과학 분야 인증 기관인 'UL 솔루션즈'의 사물인터넷(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를 가전 업계에서 가장 많이 받았다. 한 부회장은 "앞으로도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의 검증을 더욱 확대해 '홈AI'에 대한 신뢰를 더 높여 가겠다"고 언급했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 '홈AI'의 궁극적인 방향에 대해,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연결된 기기들이 상황에 맞는 기능을 수행해 시간을 아껴주고, 에너지를 절약해 환경까지 보호해 주며, 나와 내 가족, 반려동물까지 세심히 케어해 주는 것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집을 넘어서 이동 수단, 사무공간, 상업시설 등 어디를 가더라도 내 집 같은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집 경험'을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 부회장은 글로벌 환경 변화와 대내외 불안정성 지속으로 인해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업(業)의 본질에 충실함으로써, 위기를 기회로 바꿔 모든 난관을 극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가 생각하는 업의 본질은 최고 수준의 품질 확보와 고객을 중심에 둔 초격차 기술 혁신"이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해 품질과 AI 조직을 한층 더 강화했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말 조직 개편에서 DX부문장 산하에 '품질혁신위원회'를 신설하고 한 부회장을 위원장으로 위촉해 전사 차원의 품질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최고기술책임자(CTO) 전경훈 사장 직속으로 AI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조직을 뒀고, 연구소와 각 사업부의 AI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한 부회장은 "미래 준비를 위한 인재와 기술 확보, 새로운 성장을 위한 투자도 빠르고 과감하게 추진해 주력 사업의 초격차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