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K조선·방산 ‘트럼프 훈풍’… LNG선·MRO 수주 확대 기대 [트럼프 美 47대 대통령 취임]

美 LNG 수출 허가금지 철회 예고
운반선 건조 대부분 韓이 맡을듯
동맹국 방위비 증액 압박나선 美
방산업계도 무기 수출 늘어날 듯

K조선·방산 ‘트럼프 훈풍’… LNG선·MRO 수주 확대 기대 [트럼프 美 47대 대통령 취임]
도널드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대한민국 조선업계와 방산업계에 '신성장동력 확보' 훈풍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K조선은 대표적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더불어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와 대중국 강경 기조 등의 수혜가 기대된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수출규제가 철회되면 K조선의 호황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방산업계에서는 트럼프의 '동맹국 국방비 증액'에 간접적인 수혜가 전망된다. 다만 미국 시장 진출이 아직 요원하고 나토(NATO) 회원국 간 무기거래 관행 등은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

■LNG·MRO·中견제 등…K조선 호재 '풍성'

2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 LNG 생산업체들의 수출규제를 완화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할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바이든 행정부는 LNG 수출이 환경을 파괴하고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수출허가 금지 조치를 했지만 트럼프가 1년 만에 전격 철회하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LNG 운반선 수주 점유율 60%대를 차지하고 있는 K조선에는 더없는 기회다. 트럼프의 대중국 강경 기조를 감안할 때 LNG 수출을 위한 선박 건조 대부분을 한국 조선소에 맡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LNG 시장 및 LNG선 동향과 전망' 보고서는 2025~2026년 미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LNG 신규 생산이 증가하면서 LNG선 수요도 11% 내외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더불어 'MRO 사업'은 대표적인 K조선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힌다. 트럼프는 당선인 시절이던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 조선산업은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한국의 건조능력을 알고 있고, MRO 분야에서도 한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러브콜을 보낸 바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 해군 MRO 사업 2건을 수주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도 지난 13일 경영진 신년 간담회에서는 올해 2~3척 이상의 미국 함정 MRO 사업을 수주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세계 최고의 역량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K조선의 미국 시장 진출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라며 "HD현대중공업도 올해부터 미 해군의 MRO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양국 간 협력 확대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의 대중국 강경 기조도 K조선에는 기회로 작용한다. 최근 중국 유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생산설비(FLNG) 건조 조선소를 보유한 위슨은 러시아에 발전모듈을 제작·공급했다는 이유로 미국의 제재를 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FLNG 건조가 가능한 조선소는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 위슨 단 3곳뿐이다.

■방산업계 '방위비 분담금 증액' 호재

트럼프 취임으로 동맹국들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가 본격화될 것으로 관측돼 방산업계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실제 트럼프는 지난 7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나토 회원국들의 방위비 분담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5%는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대선후보 당시 거론한 3%보다 2%p 높다.

나토 회원국들이 방위비를 늘리면 무기와 장비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2기 출범은 자국 우선주의 등을 바탕으로 지정학적 리스크를 심화시켜 글로벌 방산 수요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크고, 고환율은 수출계약의 상당수가 달러화로 체결된다는 점에서 국내 방산업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방산업계는 장밋빛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다.
미 해군의 군함 건조나 MRO는 방산과 조선의 영역이 겹치고, 오히려 미국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이유다.

방산업체 관계자는 "K해양방산이 호조인 것은 맞지만 미국 시장을 겨냥한 무기체계 수출사업은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가 강화되면 오히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방산업체 관계자는 "방위비 증액으로 수출 기회가 생기는 것은 맞지만, 나토 회원국 중심으로 무기 거래를 하는 관례가 여전해 이를 풀어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