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국토부, 공항 ‘콘크리트 둔덕’ 없앤다… 활주로 안전구역도 확대

공항시설 안전 개선 방안 발표

국토부, 공항 ‘콘크리트 둔덕’ 없앤다… 활주로 안전구역도 확대
국토교통부가 안전 개선 방안 추진을 통해 둔덕을 제거하고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방위각시설 재설치를 추진하려는 여수공항 전경. 국토부 제공
정부가 12·29 제주항공 참사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공항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을 전면 개선한다. 문제가 있다고 확인된 7개 공항은 당장 다음 달부터 설계 발주를 통해 기초대를 지하화하거나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개선한다. 활주로 안전구역이 권고 수준(240m)에 미달하는 공항은 활주로 확대 또는 이마스(활주로 이탈방지 시설·EMAS) 도입을 추진한다. 다만 방위각시설 개선 사업비만 200억원 수준으로 추정돼, 이마스 도입 등에 따른 막대한 재원 조달을 누가 맡느냐가 과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방위각시설 등 공항시설 안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안전 문제 소지가 있는 모든 공항 시설을 대상으로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특별점검을 바탕으로 △시설물 개선 계획 △안전구역 권고 수준 확보 △이마스 도입 검토 △안전 관련 규정 정비 △상시 안전관리 체계 구축 등이 반영됐다. 12·29 제주항공 사고 원인은 조류 충돌이지만, 방위각시설이 사고 규모를 키웠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달 진행된 특별점검 결과 무안, 김해, 제주, 광주, 여수, 포항경주, 사천 등 7개 공항의 방위각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구역 확대가 필요한 곳은 무안, 김해, 여수, 포항경주, 사천, 울산, 원주 등 7개 공항으로 나타났다.

김홍락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방위각시설 문제가 드러난 공항은 오는 2월 초 설계 발주를 통해 즉각 개선을 추진해 최대한 상반기 내 완료할 것"이라며 "안전구역 확장은 240m 확보를 기준으로 하되, 확보가 어려운 경우 대안으로 이마스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