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한국 주력산업 '관세폭탄' 맞으면 증시부진 길어진다[관세전쟁에 금융 쇼크]

트럼프 1기 미중 관세전쟁때
코스피 한달간 13% 빠지기도
2분기 6대 수입국 압박 커질듯
원·달러 환율 1500원대 위태

한국 주력산업 '관세폭탄' 맞으면 증시부진 길어진다[관세전쟁에 금융 쇼크]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관세폭탄 사정권이 한국으로 확대될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장기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주요 수출기업의 실적둔화는 물론이고 미국은 물가상승 부담에 금리인하가 쉽지 않아 환율시장에서 강달러 행진이 이어질 수 있어서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부과에 나섰던 2018년 당시 국내 증시는 2598(1월 29일)에서 최대 1996(10월 29일)까지 600p 이상 급락한 바 있다.

2018년 3월 23일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500억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관세부과를 발표하자 당시 코스피지수는 하루 만에 3.18% 폭락했다. 다만 이후 한 달간(3월 23일~4월 23일) 2.37% 반등하며 박스권 장세를 이어갔다.

문제는 같은 해 하반기까지 미중 관세전쟁이 장기화되면서 2018년 10월 코스피지수가 단 한 달 만에 무려 13.37% 폭락했다는 점이다.

이번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정책에서 한국 역시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만만치 않다. 김용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이번 3국 관세부과 결정이 그간 트럼프 관세·협박성 발언에서 적시했던 2월 타임라인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 경우 독일·일본·한국 등 6대 수입국에 대한 관세·통상 압박이 올 2·4분기 전면화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만일 한국이 향후 관세부과 대상에 포함될 경우 그 강도가 예상보다 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 경우 국내 증시 부진도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영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2018년과 현재를 비교할 때 한국은 대만, 베트남, 캐나다, 태국과 함께 미국의 무역적자가 100% 이상 확대된 나라"라며 "보편관세 도입 시 관세 부담은 물론이고 캐나다, 멕시코 사례와 같이 선별적 관세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관세부과는 미국 내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물가가 오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기조에 제동이 걸리고, 달러강세 및 원화약세 흐름이 지속될 수 있다. 이는 증시 약세요인이 된다. 이날 국내 증시에선 멕시코와 캐나다에 주요 생산기지를 둔 관련 기업들의 주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멕시코에 전초기지를 둔 LG전자(-7.13%), 기아(-5.78%), LG이노텍(-5.92%)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캐나다에 진출한 LG에너지솔루션(-4.40%), 포스코퓨처엠(-9.66%) 등 전기차·배터리 기업 주가도 급락했다.

원·달러 환율 1500원대 전망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실제 대신증권은 이달 원·달러 환율 상단을 1500원까지 열어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4.5원 오른 1467.2원(오후 3시30분 기준)에 마감했다. 전일보다 13.3원 오른 1466원으로 출발해 상승폭을 키우며 오전 9시30분께 1470원을 넘어섰다. 장중 1470원대는 지난달 13일(장중 최저가 1474.3원) 이후 3주 만이다. 1430원대에서 마감한 지난달 24일과 비교하면 2거래일 만에 상승폭이 40원에 가까운 수준이다.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가 확산되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고조된 가운데 미국 연준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연 4.25~4.50%로 유지한 것도 환율 상방요인이다. 경제분석국(BEA)이 지난 1일 발표한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11월 2.4%에서 12월 2.6%로 상승하면서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조절 전망을 지지하고 있다. 대신증권의 환율전문가는 "트럼프 관세 위협 및 미중 갈등이 부각될 경우 환율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김동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