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2040년 공원 녹지율 31.2%달성"...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공원녹지 정책방향 담는 10년 법정계획
입체공원, 개방형녹지 등 개발시 집중 확충

"2040년 공원 녹지율 31.2%달성"...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204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의 목표. 서울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2040년까지 공원 녹지율을 2%p올려 31.2% 달성을 이루겠다는 계획을 6일 밝혔다. 탄소 흡수량은 8.8% 높일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5일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204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안'을 조건부 가결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공원녹지 확충과 관리, 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법정계획이자 향후 서울이 만들어 갈 공원녹지의 방향성을 담는 장기계획이다. 이는 지난 2015년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 발표 이후 10년 만에 새롭게 수립한 계획이다.

이번 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은 2023년 수립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정합성을 맞추고 '기후위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정원도시 서울'이라는 비전을 앞세워 다각적인 사업을 제시해 지속가능한 도시를 향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기후변화, 방재를 위한 공원녹지 기능강화를 첫 번째 목표로 제시하고, 2040년까지 공원녹지율 31.2% 달성해 현재 서울시 공원녹지가 가진 탄소흡수량 20만4066tCO2eq(2023년) 보다 8.8% 높인 22만2162tCO2eq을 제시했다.

△녹색 회복 △녹색 채움 △녹색 이용이라는 시민 눈높이와 요구에 맞춘 3개 목표를 통해 광역에서 생활권까지 촘촘한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향후 공원녹지 확충 및 연결을 위해 다각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입체공원 등 공원유형을 다변화 하고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을 동반한 가구까지 공원녹지에 대해 다양한 수요를 공원기본계획에 반영한다. 공원별로 차별화하는 명소화 전략도 마련했다.

더불어 도심내 고밀개발과 녹지확충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개방형녹지 제도를 적극 반영하고, 집중녹화가 필요한 지역을 '중점녹화지구'로 지정해 녹화사업을 전략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했다. 단절된 녹지축에 대해서도 유형별 녹지축 계획안을 마련했다.

탄소저감은 물론 기후위기로 인한 집중호우, 산사태 등 각종 도시 재해에 적극 대응하고자 방재기능도 높이도록 했다.

서울의 외사산, 내사산, 남북녹지축, 동서한강축 등 서울의 광역적 개념부터 출발한 서울 초록길 개념을 도입했고 서울둘레길, 하천숲길, 가로숲길, 소로 등 각 위계별로 공원녹지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하여 향후 지역생활권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녹색 네트워크를 구축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지역 간 녹지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집중했던 2030 기본계획과 비교해 앞으로는 '생활권 단위'의 촘촘한 공원녹지 서비스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공원 면적을 늘리는 양적 확충이 아닌 '녹지의 질적 제고'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도 진일보했다는 평가다.

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을 최종고시할 예정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생활권내 공원녹지를 평면적만 아니라 입체적,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등 도시 전체를 녹색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기후위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정원도시 서울'을 통해 서울시가 세계도시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