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롯데건설, 물 대신 이산화탄소로 굳히는 시멘트 현장 적용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등 제품 확대 개발

롯데건설, 물 대신 이산화탄소로 굳히는 시멘트 현장 적용
롯데건설이 경기도 오산 세마 트라움 건설 현장에 시공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로 제조된 보도블록. 롯데건설 제공

[파이낸셜뉴스] 롯데건설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는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의 연구과제에 참여해 개발한 이 기술을 롯데건설이 시공 중인 현장에 시범적용했다.

롯데건설은 국책연구과제인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연구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 기술은 미국, 캐나다 등 해외에서 선도적으로 개발됐으며 이번 연구는 해당 기술의 국산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약 1300℃ 이상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돼 이 과정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롯데건설이 개발한 기술은 일반 시멘트 대비 약 200℃ 낮은 온도로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고 석회석 사용량을 30% 절감한다.

또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에 의해 굳는 기존 시멘트와 달리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 친환경 건설재료로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멘트에 혼합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해당 시멘트를 활용해 만든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벽돌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은 최대 70%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가능하다. 롯데건설은 개발한 시멘트가 일반 콘크리트와 비슷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염해 저항성 등 내구성은 더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12월 부산 롯데타워 신축 현장에 개발 기술을 원료로 한 염해방지 코팅제를 적용했고 오산 세마 트라움 건설 현장에는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제작된 보도블록을 조경 구간에 시공했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