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 영향 보고서
"경제·통상 아웃리치 확대 및 관세전쟁 장기화 대비해야"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특정 국가를 향한 관세보다 향후 보편관세의 도입 여부가 한국 수출에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9일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관세 부과 시나리오별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무협은 △대중국 10%p 추가 관세 부과 △대중국 10%p에 캐나다·멕시코 25%p 관세 부과 △세 나라 관세 부과를 포함, 보편관세 10%p 부과 등 총 3단계로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 10%p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현재 상황이 이어질 경우 한국의 세계 수출 감소 영향은 전년도 총 수출의 0.1%에 해당하는 4억1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여기에 3월로 유예된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p 관세 부과가 시행되더라도 수출 감소폭은 대중국 관세 부과보다 적은 0.03%, 2억2000만달러 수준이다. 이는 관세 부과 대상국들의 중간재 수요 감소로 한국의 세 나라 수출은 줄어들지만 미국 시장에서의 반사이익으로 대미국 수출이 증가, 감소분을 크게 상쇄하기 때문이라는 게 무협 설명이다.
다만 보고서는 미국이 모든 국가에 보편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의 수출 감소폭이 크게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대미국과 대멕시코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해 총 수출은 1.9%, 132억달러 줄어들었다. 특정국 대상의 관세 조치로 인한 수출 반사이익보다 보편관세에 따른 직접적인 감소 영향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보고서는 각국의 대미국 수출 영향은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자유무엽협정(FTA) 체결 여부, 추가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캐나다·멕시코와의 산업 경합구조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미국 수출 분야 중 중국·캐나다·멕시코 제품과 경합도가 높은 수송기기, 전기·전자제품 등은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대미 반사이익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양지원 무협 수석연구원은 "보편관세가 도입되는 시점이 수출 감소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만큼 민·관이 지혜를 모아 선제적으로 대미 아웃리치 활동을 확대하고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에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