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이제 대출 규제 때문에 매매는 커녕 전세도 힘들대"

부동산R114 "작년 4·4분기 아파트 월세 비중 44%"
월세 계약 10건 중 3건은 갱신계약...2년만에 최대

"이제 대출 규제 때문에 매매는 커녕 전세도 힘들대"

[파이낸셜뉴스] 전방위 대출 규제로 매매 시장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전세대출 규제까지 예고되며 지난해 4·4분기 아파트 월세 갱신 비중이 2년만에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4·4분기 임대차 계약에서의 월세 비중은 44.0%(2만3657건)로 직전 분기 대비 3.3%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 비중은 56.0%(3만112건)였다. 전방위 대출 규제로 억눌린 매매 수요가 임대차 시장에 머무는 선택을 하고 있는 가운데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사기 여파와 2023년 5월부터 꾸준히 오르는 전셋값에 월세시장으로 이동한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지난해 4·4분기 기준 부동산R114의 월세지수도 144.47p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계약유형별 비중을 보면 갱신계약 비중이 2023년 3·4분기 이후 증가세다. 특히 2024년 4·4분기 갱신계약 비중이 31.6%를 기록하면서 최근 2년래 최대를 기록했다.

예컨대 2023~2024년 전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84㎡의 경우 2023년 1·4분기 8억1000만원이었던 평균 전세보증금이 2024년 4·4분기 10억원으로 약 23% 증가했다. 전세보증금의 80%를 대출받는다고 가정하면 매월 244만원의 이자가 300만원까지 늘어나게 된 셈이다(2023~2024년 시중 5대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평균인 4.5% 적용). 반면 동일 단지·면적의 월세(갱신계약)는 보증금은 큰 변동이 없었지만 126만원이던 월세가 178만원까지 상승하면서 40%가량이 증가했다.

월세가격 급증에도 갱신계약 비중의 증가 속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높아진 전셋값의 문턱을 넘지 못한 수요자들이 신규 전세 및 월세 계약을 체결하기 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이 감소하고 월세 계약, 특히 갱신계약 비중 증가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전세대출보증 비율을 현행 100%에서 90%로 인하하는 등의 규제가 예고되면서 전세대출 한도가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가계대출 규제 강화 기조 속에서 2025년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부족 문제까지 더해지면서 전세가가 상승했다"면서 "이에 따라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수요는 자연스레 순수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될 수밖에 없어 '전세의 월세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