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시라노' 속 조형균 배우. CJ ENM 제공
중증외상센터 스틸. 넷플릭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꽤 길었던 설 연휴 덕에 요즘 인기가 많다는 '중증외상센터'를 호기심에 열어 보았다가 몰입도 높고 빠른 전개에 빠져 단숨에 끝까지 시청하게 됐다. 스토리의 설정과 박진감 넘치는 사건들도 흥미로웠지만 무엇보다 중증외상의사 백강혁이라는 인물이 매력적이었다. 신의 경지에 다다른 의술 뿐만 아니라 위기를 극복하고 환자를 살리기 위해 예측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문제를 당당하게 해결해 나가는 모습은 이 시대 모두가 원하는 진정한 영웅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그리고 설 연휴가 지난 후에 뮤지컬 '시라노'를 관람했다. 이 공연은 프랑스의 극작가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이며 모든 것을 갖췄지만 언제나 자신보다 15분 먼저 도착하는 큰 코를 가진 인물 ‘시라노’에 대한 이야기다. 시라노는 큰 코라는 외적인 결함에 대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지만 칼싸움에 능한 훌륭한 군인이자 멋진 시를 노래할 수 있는 시인이었다. 무엇보다 평생 사랑했던 록산을 위해 록산이 사랑하는 크리스티앙과 연결해주고 보호하며 평생 그 사랑을 간직해온 순정과 낭만이 넘치는 영웅적 인물이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백강혁과 뮤지컬 '시라노'의 시라노는 묘한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두 작품 모두 실존 인물을 모티프 혹은 모델로 쓰여진 작품이지만 실제로는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인물이라는 점이다. 백강혁은 말 그대로 너무 완벽해 하나의 허점도 보이지 않는 거의 신의 경지에 오른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천재 의사다. 시라노는 코라는 결함이 있기는 하지만 그 외에는 검술과 시 그리고 권력에 대한 저항, 국가에 대한 충성, 사랑하는 이에 대한 지고지순한 사랑에 유머와 위트까지 겸비한 캐릭터다.
예술은 현실의 거울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환영을 비춰주는 거울이기도 하다. 이 환영은 모두의 기대를 통해 가공되어 진다.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런 인물이 존재하기를 기대하는 마음과 염원이 만들어낸 환상이다. 이는 반대로 신념과 능력을 모두 갖춘 백강혁과 같은 의사 그리고 문무(시와 검술)에 능통하면서 사랑에 모든 것을 바치는 시라노 같은 인물이 현실에서는 정말로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현실은 너무 비루하고 참담하다. 어디를 둘러봐도 신념의 승리나 낭만적 세계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예술은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일들을 펼쳐낸다. 이를 통해 꿈을 꾸기도 하고 현실의 비참함을 잠시 잊게 해 주기도 한다.
주인공의 매력 외에도 뮤지컬 '시라노'는 즐길거리가 많은 뮤지컬이다. 초반에는 코미디로 즐겁고 흥겹게 전개되다가, 중간부터는 영웅서사로 묵직하게 진행되고, 마지막에는 감동적인 사랑이야기로 이어진다. 삼연을 통해 보완된 드라마, 캐릭터 설정 그리고 추가된 넘버를 통해 드라마와 코미디와 쇼의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완성시켰다. 무대·영상·조명이 이 방대한 이야기를 잘 담아내고 있으며 달의 상징성을 인상적인 시그니처로 잘 활용했다.
그 외에도 원작의 상징적 요소들을 훌륭한 각색을 통해 뮤지컬로 잘 담아내어 명작으로 재탄생했다.
시라노라는 캐릭터의 매력과 더불어 시라노를 연기하는 조형균·최재림·고은성 연기의 매력에 푹 빠져들게 된다. 프랑스의 고전희곡이 뮤지컬로 동시대에 재해석되는 것도 흥미롭지만 공연을 거듭하면서 완성도를 높여가는 프로덕션의 부단한 노력에도 조용히 박수쳐주고 싶은 마음이다.
서울시뮤지컬단 단장 김덕희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