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IMC 퇴직·전환배치 접수
포스코 등 일부 공장 셧다운
수요 감소에 美 관세도 겹쳐
업계 전반 구조조정 확산 우려
전방산업 수요 부진 및 중국 저가 철강재 유입,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삼중고'를 맞은 현대제철이 자회사 중심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최근 관세 인상 정책까지 밝히면서 구조조정 확산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자회사 현대IMC '희망퇴직'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자회사인 현대IMC는 오는 21일까지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한다. 회사는 퇴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잔여 근속 50%(최대허용기준 36개월)를 인정하고 자녀 학자금 지원 1인당 1000만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대IMC는 같은 기간 충남 당진에 위치한 또 다른 현대제철 자회사인 현대ITC로의 전환배치 신청도 받고 있다. 전환배치를 신청한 직원은 100명이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내부에서는 현대제철도 조만간 희망퇴직을 받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제철은 지난 2022년 2월 한 차례 희망퇴직을 받은 바 있다.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초 포항2공장 현대제철 직원들을 당진 공장으로 전환배치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제철 내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이유는 중국산 철강재 저가공습과 경기 침체에 따른 철강 수요 감소 등 어려움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현대제철 포항 공장을 중심으로 덩치가 줄어드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현대IMC는 현대제철 포항공장의 생산, 생산 지원, 정비 부문 자회사다..
■인력 구조조정 확산될까
이러한 분위기는 철강업계 전반에서 감지된다. 포스코 등 국내 주요 철강사들은 지난해 일부 공장의 셧다운을 결정했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저가재 시장 공급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효율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작년 1선재공장, 포항 1제강공장을 폐쇄했다. 해당 공장 전 직원들은 부내 또는 타 부서로 재배치한 바 있다.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에 대해 지난해 11월 직원들에게 전체 가동 중단을 추진한다는 공문을 발송했다. 하지만 한 달여 만에 결정을 철회하고 축소 운영하기로 했다.
노동조합의 반발로 제강 및 압연 공정 모두 기존 4조 2교대 체제에서 2조 2교대로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최근 트럼프 예고대로 쿼터제가 폐지되고 철강 관세가 현실화되면 자회사 뿐 아니라 주요 철강사들의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이 현실화 될 것이란 우려도 불거진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관세 영향이 더해지면 국내 업계 개편도 중장기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미국 현지에 상공정 공장이 진출하는 경우 장기적으로는 국내 시설 개보수를 조금 덜 하면서 일부 설비가 없어지는 것에 대한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권준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