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삼성·LG전자, 북미 가전시장 적극 공략… 美 'KBIS 2025'展 동시 출격

삼성·LG전자, 북미 가전시장 적극 공략… 美 'KBIS 2025'展 동시 출격
삼성전자 직원이 KBIS 2025에서 차별화된 AI 연결경험을 제공하는 비스포크 가전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LG전자, 북미 가전시장 적극 공략… 美 'KBIS 2025'展 동시 출격
LG전자 모델들이 초(超)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SKS'를 체험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국 주방·욕실 전시회 'KBIS 2025'에 동시 출격한다. 이를 통해 프리미엄 가전을 필두로 북미 시장을 공략에 속도를 내고, 기업간거래(B2B) 사업 기회도 넓힐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는 KBIS 2025는 전 세계 6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주방·욕실 전시회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 아래 차별화된 AI 연결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비스포크 가전을 선보인다. 실제 전시장에는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슬라이드인 레인지' 전기레인지 등 다양한 비스포크 가전이 마련됐다.

다양한 스크린 가전도 소개한다. 32형 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와 9형 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냉장고', 7형 스크린을 탑재한 30형 '월 오븐' 모델을 전시한다.

LG전자는 'KBIS 2025'에서 1022㎡ 규모의 전시 부스에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와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을 선보인다. 특히 다양한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꾸민 공간에서 'SKS'의 신규 라인업을 최초 공개한다. 회사는 최근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SKS'로 리브랜딩 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조리대 안에 넣을 수 있는 '일체형 후드'와 '히든 인덕션'을 적용한 아일랜드 시스템 콘셉트의 제품이 전시된다.
제품의 모습마저 숨겨, 주방이라는 공간의 고객경험을 최우선으로 한 제품이다.

핵심 부품 기술력 '코어테크'로 본원 성능을 강화한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도 선보인다. 히트펌프 건조기 라인업은 듀얼 인버터 히트펌프를 적용해 건조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날 뿐 아니라, AI 다이렉트 드라이브(DD)모터를 탑재해 AI가 옷감의 종류와 무게를 분석해 더욱 섬세한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해 옷감 수축도 줄여준다.

임수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