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이통3사, AI비서 등 상용화 솔루션 시연… 中, 세계 최초 두번 접는 폴더블폰 맞불 [MWC 2025]

SKT, AI 기반 통신·데이터센터 기술 공개
KT, AI 접목 미래경기장 K스타디움 주목
LG U+, 미래주거지 익시퓨처빌리지 선봬

이통3사, AI비서 등 상용화 솔루션 시연… 中, 세계 최초 두번 접는 폴더블폰 맞불 [MWC 2025]
SK텔레콤 모델들이 3일(현지시간) 피라그란비아 전시장의 SK텔레콤 전시관을 소개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파이낸셜뉴스 바르셀로나(스페인)=장민권 기자】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융합·창조·연결'을 주제로 개막한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의 주인공은 인공지능(AI)이었다. 전시장인 피라그란비아 전시장 곳곳에 AI라는 키워드가 보였다. 특히 상용화 단계의 AI 시연 전시가 넘쳐났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AI비서와 AI데이터센터(AIDC), AI기지국 등 상용화 AI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화웨이는 참가기업 중 최대 규모 전시관을 꾸리는 등 AI 생태계 주도권을 염두에 둔 중국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국내 이통 3사는 전시관 공간을 통째로 AI 혁신 솔루션을 보여주기 위해 꾸며졌다. 3홀 안에 있는 SK텔레콤 전시관에는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18개가 합쳐진 최대 505형 화면에 회사 AI 비전을 담은 미디어아트가 송출됐다. 새로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AI 에이전트 '에이닷', AI 기지국(AI-RAN)·AI 라우팅·AI 기반 측위 기술 등 첨단 통신기술도 대거 선보였다.

이통3사, AI비서 등 상용화 솔루션 시연… 中, 세계 최초 두번 접는 폴더블폰 맞불 [MWC 2025]
모델들이 MWC 2025가 열린 피라그란비아 전시장의 KT 전시관에서 K팝 댄스를 추고 있다. KT 제공

KT는 AI를 접목한 미래 경기장 'K-스타디움' 등이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관람객이 전시관에 배치된 키오스크에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니 실제 이강인 선수의 말투와 목소리대로 'AI 이강인'이 환영인사를 건넸다. 이날 전시관에선 KT가 선보인 통신시장 경쟁분석 에이전트, GPU 할당 에이전트 등 AI 에이전트를 직접 경험해보는 사람도 눈에 띄었다.

이통3사, AI비서 등 상용화 솔루션 시연… 中, 세계 최초 두번 접는 폴더블폰 맞불 [MWC 2025]
모델들이 피라그란비아 전시장의 LG유플러스 전시관에 마련된 익시퓨처빌리지를 소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전시관 중앙에 자체 AI '익시'를 활용한 '익시퓨처빌리지'를 마련했다. 실제 주거공간을 3분의 1 크기로 축소한 미래 주거지다.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3개를 활용해 가로 3.8m, 세로 3.5m로, 승용차 2대를 나란히 붙인 크기다. 익시가 오늘의 주요 일정을 안내하자 거실 벽면이 자동으로 변하며 하루 일정이 표시됐다. 실내 온도와 조명 밝기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해 자동으로 조정되고, 거실 테이블 위에는 가족들이 즐겨 보는 뉴스와 콘텐츠가 띄워졌다. 눈에 보이지 않는 AI와 통신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모습을 관람객이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국 기업들도 자국 중심 AI 생태계 조성 작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화웨이는 주요 전시 테마로 'AI 플러스'를 제시했다. AI 혁신, 생성형 AI, 자율주행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 등 AI 인프라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아울러 세계 최초 두 번 접는 폴더블폰 '메이트 XT'도 전시하며 삼성전자와의 폴더블폰 기술 선점 경쟁도 예고했다. 초박형 폴더블폰 '매직 V3'를 만든 중국 아너의 제임스 리 최고경영자(CEO)는 기기 기반 AI 생태계 구축전략인 '알파플랜'을 발표했다. 샤오미도 같은 날 바르셀로나에서 글로벌 신제품 론칭 행사를 개최해 차세대 플래그십(최고급) 스마트폰 '샤오미 15' 시리즈와 샤오미 패드 7 시리즈 등을 공개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