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LG CNS, AWS 손잡고 기업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관련종목▶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 설립

LG CNS, AWS 손잡고 기업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LG CNS 현신균 사장(오른쪽)과 AWS코리아 함기호 대표가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 출범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 CNS 제공


[파이낸셜뉴스] LG CNS는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Gen AI Launch Center)'를 설립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센터는 양측의 생성형 AI, 클라우드 분야의 양사 전문가들로 구성해 기술, 비용, 시간 문제로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보다 쉽게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 CNS 현신균 사장은 "AWS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모든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문턱을 낮추겠다"며, "앞으로 양사는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향후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최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AWS코리아 본사에서 센터 출범식을 진행했다.

우선 이 센터는 기업을 위한 생성형 AI 서비스 100개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업은 △사용자 맞춤형 챗봇 △마케팅 문구·이미지 생성 서비스 △이슈 요약 및 대응체계 수립 등을 지원하는 이슈관리 통합플랫폼 등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G CNS는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 체계를 활용한다.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는 기업이 최소한의 기간과 비용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기획부터 구현·검증까지 일괄 지원하는 '산업·업무 영역별 사용사례(Use Case)'와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생성형 AI 서비스 중 가장 대중적인 챗봇도 산업 분야나 사용자에 따라 다른 기술과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금융 상담원을 위한 AI 챗봇에는 금융 상품 검색, 요약 등 고객상담 업무에 최적화된 응대 매뉴얼을 적용할 수 있고, 가전 제조업 제품 개발자를 위한 AI 챗봇에는 가전 제품 설계 가이드, 과거 발생 이슈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증강생성(RAG)1)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기업은 LG CNS가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생성형 AI 사용사례를 참고해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함께 LG CNS는 AWS의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결합해 시너지를 강화한다. 주요 AI 기업 및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해 기업에게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효과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WS가 자체 개발한 업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 '아마존 노바', AWS의 고성능 컴퓨팅 특화 하드웨어 등도 활용할 수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