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대 부사장 "최적의 조합 발굴"
MWC서 초광각·고화소 스펙 강조
셔터 스피드 7배 빨라 노이즈 적어
조성대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비주얼솔루션 팀장(부사장)이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파이낸셜뉴스 바르셀로나(스페인)=
장민권 기자】 삼성전자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5' 시리즈 카메라 성능이 '최적의 조합'이라고 자신했다. 조성대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비주얼솔루션 팀장(부사장)은 3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 카메라는 센서, 렌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 소프트웨어 기술의 조합을 봐야 한다"며 "삼성전자는 어떤 업체와 비교해도 그 조합을 가장 많이 고민하며, 최적의 조합을 찾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AI로 노이즈 제거까지 최적화"
조 사장은 스펙만 살펴봐도 경쟁업체가 따라올 수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S25 울트라에는 50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 2억 화소 메인 카메라, 5000만 화소 5배 줌 카메라 등 고화소 카메라 센서를 달았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조합해 디지털 줌 구간에서도 이미지가 선명하다. 앞서 샤오미가 MWC에서 공개한 샤오미 15 울트라는 소니 LYT-900 1인치 이미지 센서와 손떨림방지 기능을 갖춘 5000만 화소 기본 카메라, 3배 광학 줌이 탑재된 5000만 망원렌즈, 5000만 초광각 렌즈를 탑재했다.
조 사장은 고화질을 제공하기 위해 특히 '셔터 스피드'를 중점으로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셔터 스피드를 조도 환경에 따라 3배에서 최고 7배까지 빠르게 촬영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며 "셔터 스피드가 빨라지면 노이즈(번짐)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 삼성전자의 AI 카메라 기술을 활용해 노이즈를 알맞게 제거함으로써 최고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160개 AI 기술로 정밀 촬영 지원
갤럭시S25 시리즈는 전작 대비 40% 이상 늘어난 총 160개 AI 기술이 들어갔다. 이를 통해 사진, 영상 촬영, 편집 기능을 향상시켰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가상 조리개 등 고급 촬영 기능도 쓸 수 있다.
가상 조리개 모드는 메인(광각)카메라와 초광각 카메라로 촬영한 두 이미지를 통해 심도 정보를 분석해 가상으로 심도 표현을 적용한다. 가상 조리개 효과를 위해 전문가들의 촬영 이미지 약 20만여장을 AI로 학습했다. 갤럭시S25 시리즈에는 오디오 지우개, 인물 사진 스튜디오, 인스턴트 슬로모, 생성형 편집 등 편집 작업 시 창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장민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