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상장사 중 18%만 협력사 ESG 설비투자 지원..."대기업 상생 노력 필요"

협력사 인증 지원 기업 16.6%
교육, 컨설팅 지원은 20%p 이상 증가

[파이낸셜뉴스]
상장 대·중견기업 중 협력사의 실질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인프라를 지원하는 기업이 10%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이같은 내용의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상장 대·중견기업 199개사가 자율공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장사 중 협력사의 인증 지원과, 설비투자 등 하드웨어적 지원을 하는 기업은 각각 16.6%, 18.1%에 그쳤다.

반면 ESG 내재화를 위한 교육(65.8%)과 컨설팅(51.3%)은 전년 대비 각각 24.6%p, 20.2%p 증가했다.

ESG 평가결과 활용에 있어 계약·거래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중(42.2%)은 전년(22.3%)에 비해 두 배 늘었다.

협력사 ESG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기업의 비중은 31.7%로 전년(10.1%) 대비 크게 늘었다. 다만 페널티 적용 기업(29.6%)도 인센티브 적용 기업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년(18.9%) 대비 증가했다. 인센티브 및 페널티를 둘다 적용하는 기업은 19.1%다.

상장사 중 18%만 협력사 ESG 설비투자 지원..."대기업 상생 노력 필요"
협력사 ESG 인센티브 및 페널티 적용 상장사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수행하는 자율공시 기업은 97%에 달했다. 이는 전년(89.2%) 대비 7.8%p 증가한 수치다.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은 △협력사 평가절차·항목 포함 여부 △인증획득 지원 △하드웨어적 지원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 등으로 평가된다.

ESG 관련 정책을 구매시스템에 공개하고 구매 시 반영하는 기업도 52%에서 79%까지 증가했다.

지난달 26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ESG규제입법을 완화하는 '옴니버스 패키지'를 발표한 바 있다. EU 공급망 실사 지침상 실사의무 부과 대상을 종업원수 1000명 이상 대기업까지로 축소하고, 실사범위도 1차 협력사까지 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제안이 통과될 경우 협력사 ESG 평가 절차나 현장실사 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자율공시 기업의 71.4%가 매년 자가진단 또는 온라인·서면 평가 거쳐 일부 기업에 대해서 현장실사를 하는 평가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자율공시 기업의 29.6%가 현장실사 기준 및 내용을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불과 1년 사이에 거래 관계에서 ESG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졌지만 협력사 ESG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인증·하드웨어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율도 높아 대기업의 상생노력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외 ESG규제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의 ESG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대중기 ESG 상생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업종별 맞춤형 ESG 툴킷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