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소재사도 '인터배터리 2025' 출동...LG화학·롯데케미칼 등 차세대 기술 선봬

LG화학, 국내 최초 '전구체 없는' 양극재 전시
롯데 화학군 3사 첫 공동 참가...이영준 대표 "소재 사업 열심히 할 것"
고려아연, 황산니켈 관련 기술 등 소개

소재사도 '인터배터리 2025' 출동...LG화학·롯데케미칼 등 차세대 기술 선봬
LG화학 '인터배터리2025'에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홍요은 기자

[파이낸셜뉴스] LG화학, 롯데케미칼, 고려아연 등 배터리 소재사들이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총출동했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수요 둔화) 속에서도 미래 먹거리가 될 스페셜티 기술을 선보이며 어려운 업황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에서 배터리 소재 관련 기업들이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및 소재를 선보였다.

우선 LG화학 부스 전면에는 니켈 함량에 따른 다양한 양극재 제품군이 파우더 형태로 투명 컵에 담겨 전시됐다.

특히 LG화학은 이날 국내 최초로 양산되는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를 공개했다. LPF 양극재는 전구체를 따로 만들지 않고 맞춤 설계된 메탈에서 바로 소성해 양극재를 만드는 방식으로 저온 출력 등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새 전구체를 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소재사도 '인터배터리 2025' 출동...LG화학·롯데케미칼 등 차세대 기술 선봬
LG화학 '인터배터리2025'에 부스에 전시된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 사진=홍요은 기자

이 외에에도 고전압 미드 니켈, 고밀도 리튬인산철 등을 소개했다. 화염과 열폭주를 차단하는 넥슐라, FBS 등 안전소재 △케이블, 하우징 등 전기차 충전 소재 △건식 전극용 양극재와 전고체용 양극재 등 차세대 혁신 소재도 선보였다.

롯데 화학군 3사인 롯데케미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롯데인프라셀은 최초로 전시회에 공동 참가했다.

롯데 화학군 부스 안으로 걸음을 옮기자, 180㎡규모의 전시장 한 가운데 원통형 배터리가 충전되는 모습을 시각화한 기둥이 눈에 띄었다.

이날 이영준 롯데케미칼 총괄대표는 안덕근 산업통장부 장관이 롯데화학군 부스에 방문해 스페셜티 제품인 'WFT 배터리팩·케이스 보호판'에 대해 관심을 보이자 직접 설명에 나서기도 했다.

소재사도 '인터배터리 2025' 출동...LG화학·롯데케미칼 등 차세대 기술 선봬
이영준 롯데케미칼 총괄대표가 롯데 화학군 '인터배터리2025' 부스를 방문한 안덕근 산업통장부 장관에게 스페셜티 제품인 'WFT 배터리팩·케이스 보호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홍요은 기자
이 대표는 롯데 화학군 부스에 대해 "우리 회사가 표현하고자 하는 화학군의 사업의 방향이 잘 소개돼있는 것 같다"며 소재 사업에 대해 "열심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롯데 화학군은 이날 배터리 핵심 소재 3사 밸류체인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강조했다. 롯데케미칼이 생산한 '수성 카본 프라이머 코팅액'은 롯데인프라셀이 생산하는 양극박에 씌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공급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 집전체 소재로 초극박, 초연신의 하이엔드 동박과, LFP용 양극활물질을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차세대 기술인 전고체 배터리용 분리막 코팅 소재기술,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인공지능(AI) 가속기용 동박도 선보였다.

소재사도 '인터배터리 2025' 출동...LG화학·롯데케미칼 등 차세대 기술 선봬
롯데케미칼이 개발한 리튬이차전지용 전지박 프라이머 코팅제(왼쪽)과 롯데인프라셀의 양극박(오른쪽) 제품. 사진=홍요은 기자
고려아연 부스에서는 화면을 통해 고려아연 자회사 켐코의 황산니켈이 한국전구체주식회사(KPC)에 공급된 후 KPC가 양극재의 핵심소재인 전구체로 탄생하는 흐름을 엿볼 수 있었다.

고려아연은 트로이카 드라이브의 핵심 축인 2차전지 소재사업을 중심으로 황산니켈 관련 제조 기술, 자회사 KZAM(케이잼)이 생산하는 두께 10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얇은 동박 실물 등을 전시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