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함기호 AWS 대표 "올해 생성형 AI 넘어 데이터, 분석 도구까지 확산할 것"

함기호 AWS 대표 "올해 생성형 AI 넘어 데이터, 분석 도구까지 확산할 것"
함기호 AWS 코리아 대표. AWS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는 생성형 AI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관된 데이터나 분석툴(도구)까지도 확산해 나가는 쪽으로 전략을 세웠다".

함기호 아마존웹서비스(AWS) 코리아 대표는 5일 서울 강남구 AWS 오피스에서 간담회를 열고 "생성형 AI가 사업적인 이득으로 이어진다면 AI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함 대표는 생성형 AI가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올해 전 세계 AI 지출 규모는 3370억달러(약 490조원)에 달하며, 2028년에는 이보다 9배가 넘는 금액을 투자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어마어마한 금액 중 절반 이상은 클라우드 내에서 인프라,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함 대표는 △생성형 AI 혁신 △마이그레이션(이전)·모더나이제이션(현대화) △산업맞춤형 서비스 등을 올해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AWS 코리아는 지난해까지 △대한항공과 AI 혁신 기술을 적용한 AI 컨택센터 구축 △스타벅스의 생성형 AI 및 클라우드 도입 △게임사 크래프톤의 컨테이너 환경 현대화 △현대카드 빅데이터 플랫폼 2.0 구축 △LG 유플러스 BSS(비즈니스 지원 서비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등 국내 기업과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AWS는 올해 생성형 AI 확산에 따라 자체 GPU 보급 및 AWS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상용화에 힘 쓸 예정이다.

함 대표는 "첫 번째로 고민하는 부분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잘 보급해서 우리 고객들이 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노력을 해나갈 것"이라며 "GPU는 엔비디아 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저희들은 벌써 오랜 기간 동안 자체적인 GPU를 생산했고, 트레이닝을 위한 칩, 추론을 위한 칩들이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또 "아마존 큐 비즈니스, 아마존 큐 디벨롭퍼 등 우리 애플리케이션 확산은 물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들이 모인 이노베이션 센터를 통해 생성형AI를 어떻게 파인튜닝(맞춤)할 수 있는지 연구해 기업들이 좀 더 생성형AI를 잘 활용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WS는 국내 공공 분야 시장 진출도 지속적으로 준비 중이다. 함 대표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오랜 기간 준비했고 현재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참여와 관련해서는 "정부 관계자나 담당자 분들과 긴밀하게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며 "그 결과에 따라 추진할 수 있는 계획이 마련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함 대표는 AWS가 한국 산업계에 기여하고 있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젊은 인재들을 교육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있고, 특히 여성 인재 지원을 힘쓰고 있다"며 "이미 AWS가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 투자한 것이 3조원에 육박한다. 2027년까지 약 8조원의 금액을 계획대로 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wongood@fnnews.com 주원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