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개인 재산을 출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은 부도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기존 입장에서 다소 선회한 모습이다.
MBK는 16일 “김 회장은 특히 어려움이 예상되는 소상공인 거래처에 신속히 결제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마련하겠다”며 “매입채무유동화 관련 채권자들을 포함한 모든 채권자들과 홈플러스 간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확한 지원 금액은 명시하지 않았다.
회생법원은 홈플러스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물품·용역대금 3457억원, 올해 1~2월 점포 임차인(테넌트)에 대한 정산대금 1127억원 등 총 4584억원의 자금 집행을 승인했고, 홈플러스는 상거래채권 3400억원 상환을 마쳤다고 발표한 상태다.
이날 MBK 관계자는 “1만9000여 홈플러스 임직원, 임차점포와 납품업체들을 포함한 6000여개 상거래처들이 정상 영업활동을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며 “갑작스런 유동성 위기로 부도를 맞기 전 선제적으로 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했고 그 방법은 회생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지난 14일 기자간담회에서 “회생 신청 이후부터는 (MBK가) 주도적으로 효율화하거나 구조조정을 하거나 할 수 있는 일들이 없다”며 ‘김 회장 사재 출연 요구’ 관련해서도 “말씀드릴 사항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하지만 정치권 등에서 MBK에 대한 압박을 이어간 가운데 이번에 고육지책을 내놓은 모양새다. 김 회장은 오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홈플러스 현안 질의에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불출석을 통보하면서 비판이 일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도 MBK 책임론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지난 5일 ‘증권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홈플러스의) 일부 거래 업체와의 대금 정산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모니터링 중”이라며 말했다.
이와 별개로 개인투자자에게 판매된 홈플러스 단기채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다. 홈플러스가 신용평가사 신용등급 강등을 인지하고, 기업회생 절차를 준비하면서도 채권을 찍어 개인 등에게 손실을 이전시켰을 경우 ‘불완전판매’ 혐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감원과 금융투자업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홈플러스 기업어음(CP)·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단기사채 등의 판매잔액 총 5949억원 중 개인에게 판매한 규모는 2075원 선이다. 일반법인에 판매된 채권은 3327억원 정도다.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리츠(REITs), 부동산 펀드 손실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정부는 이 규모를 1조원대로 보고 있는데 이 중 개인 투자자 자금이 상당 규모로 묶여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은 이번 홈플러스 사태 관련 채권 판매사인 신영증권과 한국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 등 신평사 2곳에 대한 검사에 돌입했다. 이르면 이달 중 MBK에 대한 검사도 개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