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AI 교육 설계에 기업 직접 참여해야"
"산업·직종별 부족 인원, 채용 계획 등 통계 구축해야"
20일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뒷줄 왼쪽에서 네번째)이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인력 양성을 위해 정부가 관련 교육에 기업의 인재상과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민순홍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0일 서울 역삼동 팁스타운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주최로 열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점검회의'에서 "도메인 AI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기업이 직접 참여한다든가, 청년 미취업 프로그램은 기업이 취업 연계로 참여하는 등 창구를 더 개방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산업연구원의 기업활동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50인 이상 상용근로자기업의 AI 도입률은 5% 미만이다. 매년 도입률은 증가하고 있지만 250인 이상 기업은 9.2%에 달하는 반면 10인 미만 기업은 2%에 그치는 등 기업 규모 간 편차가 큰 편이다. AI 기술을 활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기업 경영 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59.6%)는 답변이 가장 많았지만 AI 활용에 관한 구체적 정보와 전문인력이 부족하다(21.4%)는 답변도 적지 않았다.
민 위원은 "인재 양성에 있어 민간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스스로 양성하는 게 훨씬 더 효율적"이라면서도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투자나 자금 여력이 넉넉치 않은 부분을 고려하면 AI 도입 초기 단계에는 정부의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활용해 인재를 육성하고, 사업의 성숙이 이뤄지면 기업이 직접 육성하는 방향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AI전문 인재(소프트웨어 중심 대학, AI 대학원) △재직자(산업전문인력 AI 역량 강화, 이노베이션스퀘어 아카데미) △청년 미취업자(K디지털 트레이닝, 인공지능사관학교, 이어드림스쿨)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정부는 이같은 프로그램에 기업의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기업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자금·투자 여력이 없는 중소벤처기업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가 AI 인력 관련 통계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 위원은 "현재는 정부가 AI 산업 실태조사에서 인력 현황을 조사하는 것 외에는 공식적으로 도입이나 활용 단계의 인력 관리를 충분히 하지 않고 있다"며 "인력 양성 규모를 설정하기 위해 AI 인력 통계 자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산업·직종별로 현 인원, 부족 인원, 채용 계획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통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 기업의 경우 AI바우처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민 위원은 "중소기업의 경우에 자금적 여력이 충분치 않아 AI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꽤 많았는데 AI바우처 사업을 통해 AI에 접근한다면 수요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 부담을 덜 수 있다"며 "공급 기업의 경우에도 서비스 확산을 통해 성장 여력을 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들도 이날 회의에서 우수 AI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영준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사는 "해외 우수 AI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비자 정책 및 정착 지원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인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AI 스타트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지호 클레온 최고운영책임자(COO)는 "AI 인재 순환 프로그램 및 공동 R&D 프로젝트 등을 통한 대기업-스타트업 인재 교류 활성화, 스톡옵션 지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의 보상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편 김유철 LG AI 연구원 전략부문장은 "AI 인재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성장환경의 조성"이라며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재직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에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AI 인력 확보가 정부의 중요 어젠다가 될 수 있도록 중기부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