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절제 추구한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된다

절제 추구한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된다
서울 진관사 사찰음식.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신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사찰음식은 불교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온 음식이다. 승려들의 일상 수행 음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 식사법을 포괄한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지만 공통으로 불교사상에 기초해 육류, 생선, 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 특징이다.

사찰음식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한 후 오랜 기간 한국 식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다.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 '조계진각국사어록', '목은시고'와 같은 문헌에 채식만두, 산갓김치 등 사찰 음식 관련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는 '묵재일기', '산중일기'를 통해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의 주요 공급처로 역할했음을 알 수 있다. 사대부가와의 곡식 교환 등 음식을 통해 민간과 교류하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의 국가무형유산 지정 이유로 불교 전래 후 현재까지 이어져 온 점, 생명 존중과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한 고유 음식문화,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한 조리 방식 등 타 국가의 사찰음식과 차별화, 창의적 재해석으로 영역을 넓혀 문화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 등을 꼽았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