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설립한 이온, 하이브리드 'UPS' 개발
R&D 인력 59%… 기술로 승부하는 전력전자 기업
MARCHE P, 40Mw급 데이터센터 전기요금 年 40억↓
공공시장 70~80% 점유… 민간·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2028년 매출 1500억 목표… 기술특례 상장도 추진
강승호 이온 대표가 20일 경기 수원 본사에서 열린 2025-1차 이노비즈 PR-day에서 UPS(무정전전원장치)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노비즈협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해 공공 뿐만 아니라 민간도 무정전전원장치(UPS)의 국산화를 이뤄내고 이를 기반으로 해외로 나가 글로벌 기업이 되겠다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강승호 이온 대표는 지난 20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본사에서 열린 '이노비즈 PR 데이'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02년 설립된 이온은 UPS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기반으로 외산 제품 일색이던 국내 300Kw 이상 중대형 UPS 시장의 국산화를 주도, 데이터센터 등 전력 인프라 시장을 공략해 온 기업이다. 박사급 인력을 포함해 전체 직원의 59%가 R&D 인력이며 매출액의 약 6%를 지속적으로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다.
주요 제품인 'MARCHE P'는 세계 최초로 UPS와 ESS 기능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UPS'다. 전자는 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 전력 공급을 유지하고, 후자는 전력이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 후 피크 시간대에 방전해 전력 비용을 절감하고 피크 부하를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는 별도 장비로 설치하지만, 이온은 이 둘을 결합해 설치 공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고효율·고신뢰성을 확보한 솔루션을 구현했다.
기존 UPS 장비들의 효율이 250Kw 기준 평균 94% 수준인 데 비해 MARCHE P는 최대 99.5%의 에너지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강 대표는 "5.5%p 차이로 연간 5000만원의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하다"며 "40Mw급 데이터센터로 환산할 경우 80배 정도 되므로 40억원 가량 아끼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온 제품은 정책적·제도적 변화에도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난 2023년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과 '전력계통영향평가'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전력 소비를 수반하는 데이터센터에 ESS 등 신재생 설비 도입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온의 하이브리드 ESS 제품은 이같은 규제 대응에 최적화, 냉각 장치 등 공조 부하에도 UPS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 적용 범위가 넓고 ESS 설치로 전력계통영향평가에서 5점을 확보할 수 있어 사업 인허가에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
2025-1차 이노비즈 PR-day에서 강승호 이온 대표가 전압보상기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신지민 기자
이온은 공공을 중심으로 몸집을 키워 왔다. 지난 2017년 정부통합전산센터 등에 공공조달에 성공, 우수조달제품 인증을 획득한 뒤 기상청 슈퍼컴퓨터 센터, 선거관리위원회, 대법원 등 주요 국가기관에 자사 제품 공급을 확대했다. 현재 공공시장에서 중대형 UPS 시장 점유율은 70~80% 수준이다.
민간의 경우 버티브, 슈나이더 일렉트릭, 이튼 등 글로벌 3사 제품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지만, 그간 확보한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공급을 늘려가고 있다. 특히 지방에 새롭게 설계되는 대형 데이터센터에는 이온 제품이 설계 초기 단계부터 반영되고 있다. 강 대표는 "지난해 매출액 565억원 중 공공 대 민간 비중은 3:7"이라고 말했다.
이온은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UPS 및 ESS 시장 규모는 연간 약 3000~4000억원으로 추정되며, 해외의 경우 오는 2028년 약 21조5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온은 CE 인증을 획득해 해외 수출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경쟁에 대비해 생산 원가 절감 및 생산지 다변화 등을 검토 중이다.
강 대표는 하이브리드 제품을 기반으로 올해 매출액 1200억원, 2028년까지 매출액 15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술특례상장 요건을 갖춘 이온은 향후 2~3년 내 기업공개(IPO) 및 상장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강 대표는 "투자 유치를 병행해 올해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주관사를 선정하려 한다"며 "국산이 이런 제품을 만들 수 있겠느냐는 시선을 이겨낸 지난 날에 힘입어 더욱 더 성장을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