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유인촌 장관 "정책용어, 쉬운 우리말로 바꿔 국민 접근성 높일 것"

중앙행정기관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설치 의무화

유인촌 장관 "정책용어, 쉬운 우리말로 바꿔 국민 접근성 높일 것"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어기본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계기로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 용어 개선에 더욱 힘쓰겠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문체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일부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구성해 일제 강점기 시기에 도입된 일본식 한자어, 외국어 등에 대한 국민 불편을 인지하고 이들을 적극 개선해왔다.

하지만 현행 국어기본법상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은 의무가 아니며, 개최 여부에 대해서도 전혀 규정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어려운 정책용어 개선에 있어 각 기관의 자체적인 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 및 연 1회 이상 개최를 의무화하는 국어기본법 개정안(대표발의: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현재 48개 중앙행정기관 중 33개 기관(68.7%)에 설치돼 있는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가 모든 중앙행정기관에 설치되고, 개최 실적 또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문체부는 이번에 통과된 국어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법 개정사항을 각 중앙행정기관에 알리고,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 및 운영에 대해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국민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용어 순화에 적극 힘쓰고 어려운 용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정책 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접근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