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 현장이 통제되고 있는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국토교통부가 서울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에 대한 기술적인 원인 규명에 나선다.
국토부는 3월 31일 오전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관련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서울시 등 관련 기관들과는 별도로 사고와 관련된 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원인에 따라 여러가지 방향에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며 "사조위 활동은 서울시 등와 별개로 진행되며, 필요시 현장 조사 등을 진행하는 일정 등을 추가 논의해 본격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조위 위원들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 일정을 조율해 현장에 대한 별도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서류 등에 대한 내용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원인이 규명되면 이에 따른 구체적인 대책 마련도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안전관리원 관계자는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현장 조사 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부 운영일정에 따라 관리원이 사조위를 운영하면서 조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4일 사조위를 구성키로 하고 오는 5월 30일까지 운영키로 했다. 사조위는 제4기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단 소속 전문가로, 서울시와 도시철도 9호선 건설공사 등과 관련성이 없는 위원들로 구성해 객관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지반침하 사고는 지난 23일 오후 6시 29분쯤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연장18m, 깊이18m, 폭 20m의 대형 땅꺼짐(싱크홀)이 생기면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빠져 사망했다.
앞서 이 같은 대형 싱크홀 사고는 잇따라 발생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8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 한복판에서 싱크홀이 발생해 승용차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같은해 종로5가역 인근과 9호선 언주역 인근 도로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했다. 부산에서도 지난해 9월 싱크홀 사고로 트럭 두대가 매물되기도 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