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일(현지시간) 발표하는 상호관세와 3일부터 부과하는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2024년 품목별 대미 수출 규모> |
순위 |
구분 |
2024년 대미 수출액 |
1위 |
자동차 |
347억4000만달러 |
2위 |
일반기계 |
150억7000만달러 |
3위 |
반도체 |
106억8000만달러 |
4위 |
자동차부품 |
82억2000만달러 |
5위 |
컴퓨터 |
57억8000만달러 |
6위 |
석유제품 |
51억1000만달러 |
7위 |
철강 |
43억5000만달러 |
8위 |
석유화학 |
42억8000만달러 |
9위 |
이차전지 |
38억8000만달러 |
10위 |
가전 |
38억7000만달러 |
|
(자료: 한국무역협회) |
|
[파이낸셜뉴스] "도대체 관세를 얼마를 부과할지 까봐야 아는 상황이다."(국내 기업 관계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늦어도 오는 2일(현지시간)까지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비상이 걸렸다. 특히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당장 3일부터 부과되는 25%의 품목관세(3월 26일 발표)국가별 상호관세까지 추가될 경우, 말 그대로 관세폭탄이 투하되는 것이다. 가령 25% 품목관세에, 10% 상호관세(추정치)가 더해질 경우, 관세율은 35%로 상승하게 된다. 사실상 무관세 협정인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국내 車업계, 전전긍긍 '현지화·가격인상'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은 물론이고, 반도체와 의약품 품목도 초비상이다. 최소 25% 품목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더해질 경우, 미국 현지 거래 가격 자체가 상승하게 된다.
현대자동차·기아·한국GM이 지난해 미국으로 수출한 물량은 총 143만2713대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수출(278만2612대)의 51.5%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대미 수출실적이 101만3931대였고, 한국GM도 41만8782대로 집계뙜다. 각사별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현대차·기아의 미국 비중은 46.6%, 한국GM은 84.8%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25% 품목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현대차·기아는 현지에서 수요가 많은 차종을 중심으로 '메이드 인 USA' 차량을 대폭 늘리기로 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30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과 동시에 연 50만대로 증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조치로 현지 생산 확대가 그만큼 시급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렇게 되면 HMGMA(50만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공장(36만대), 기아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 공장(34만대) 물량을 더해 미국 현지에서 연 120만대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HMGMA 증설, 제철소 등 31조원의 후속 대미 투자를 단행해 관세 불확실성을 돌파할 방침이다.
관세폭탄 여파로 현대차는 이미 미국 현지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현지 딜러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현재의 차 가격은 보장되지 않으며, 4월 2일 이후 도매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변경될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파커 CEO는 "관세는 쉽지 않다"며 이런 가격 변경 검토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것임을 시사했다. 대미 수출 비중이 80%를 웃도는 한국GM의 상황은 더욱 어렵다. 한국GM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트레일블레이저는 가격에 민감한 소형 SUV여서 25% 품목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까지 추가될 경우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사실상 미국 수출이 어려워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반도체 업계도 부담 늘어날 듯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품목관세 및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 반도체의 대미 수출 비중은 비교적 적은 편이나, 관세의 영향을 피할 수는 없는 처지다. 지난해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7.5%다. 중국(32.8%),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는 낮다. 문제는 여러 국가를 경유해 제조하는 만큼 상호관세 적용 범위와 기준이 복잡해져, 경우에 따라 관세부담이 더 과중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추진한 반도체과학법(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을 시사하고 있어, 미국에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보조금 액수 47억4500만 달러), SK하이닉스(4억5800만 달러)가 보조금을 아예 못받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추가 투자 요구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보조금 재협상 등 반도체법 변화 시 한국 반도체 기업들도 타격이 예상된다. 보조금은 기업들의 투자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지급되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은 아직 약속된 보조금을 다 받지 못한 상태다.
cjk@fnnews.com 최종근 임수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