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A 제공
[파이낸셜뉴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내 완성차·부품업계가 철수했던 러시아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점유율이 60%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일 발표한 '러시아 자동차 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대비 34.7% 증가한 98만3000대를 기록했다.
러시아 정부의 인센티브 확대와 내수 회복에 힘입어 현지 기업들이 성장세를 보였고, 중국 GWM의 현지 생산 확대와 체리, 지리의 부분조립생산(SKD) 증가가 생산 증대에 기여했다. 지난해 러시아 자동차 판매도 39.2% 늘어난 183만4000대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중국계 기업들의 러시아 수출 확대를 이 같은 생산·판매 증가의 가장 큰 이유로 지목했다. 중국의 대(對)러시아 자동차 수출은 2022년 15만4000대에서 지난해 117만대로 7.6배 급증했고, 그 결과 러시아 승용차 시장에서 중국계 브랜드 점유율도 2021년 8%대에서 2024년 60.4%로 확대됐다.
대 러시아 경제제재로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시장에서 철수한 틈을 타 중국계 기업들이 러시아-중국 전략 공조 방침에 따라 완성차 및 부품 공급을 확대한 결과로 분석된다.
KAMA는 최근 종전 협상이 진전되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러시아 시장 재진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재진출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르노, 스텔란티스, 폭스바겐, 도요타, 닛산 등 유럽 업체와 일본 업체의 시장 복귀가 예상되지만, 러시아 시장이 우호국 중심으로 공급망이 재편돼 재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앞서 현대차그룹도 2023년 12월, 러시아 공장 준공 13년 만에 현지 생산을 접고 철수를 결정했다. 현대차그룹은 현지 공장을 1만루블, 당시 한화로 14만원가량에 매각하면서 2년 이후 매각 자산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을 내걸었다. KAMA 관계자는 "러시아 시장은 전쟁 이전까지 한국 자동차 업계의 주요 수출시장인 동시에 생산 거점 역할을 해온 만큼 향후 성장 여력이 있다"며 "재진출하는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와 러시아 정부의 자국 산업 보호 정책, 현지화 요구 사항 등을 충분히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