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대도시권 광역교통 R&D 로드맵(안) 설명회'에서 강희업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 제공
‘디지털 트윈 환승센터 통합 운영’ 개념도. 국토부 대광위 제공
[파이낸셜뉴스] 앞으로 GTX 환승역에서 지하철·버스·PM(개인형 이동장치) 등으로 환승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또 장거리 노선에는 1회 충전으로 500㎞를 주행하는 2층 수소 광역버스가 투입된다. 대전·울산 등에서는 전기보다 주행거리가 긴 수소트램이 시험 운행에 들어가며 수도권 외곽이나 중소도시에는 정시성을 갖춘 차세대 BRT 차량이 투입될 계획이다.
■GTX부터 버스·PM까지… “환승시간 줄이고 실내 내비까지”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광역교통 R&D 로드맵(2025~2034)’을 제시했다. 발표를 맡은 박준식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은 “이제는 공급 위주의 교통 정책에서 벗어나 기술을 통한 운영 혁신과 실질적 이용자 편의성 강화로 전환할 때”라고 설명했다.
이번 로드맵은 단순히 ‘미래 기술’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생활 속 교통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체감형 기술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통근·통학 등으로 혼잡도가 높은 수도권 광역교통망의 구조적 문제를 기술로 해소하겠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능형 환승센터 통합 운영 기술이다. GTX, 지하철, 버스, 승용차, PM(개인형 이동수단) 등 서로 다른 교통수단을 단일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연계해 환승 동선을 최적화한다는 게 핵심이다.
이 시스템은 단순한 길안내 수준을 넘어 환승 센터 내부를 디지털로 구현한 뒤 AI 분석을 통해 혼잡 예측, 우회 경로 제안, 장애인·노약자 전용 안내까지 제공한다. 여기에 재난 발생 시 대피 경로를 자동 안내하는 기능도 포함됐다.
이와 연계된 비접촉형 교통 접근 시스템도 추진된다. 기존 교통카드 태깅 방식 대신 QR·영상 기반 인식 기술을 통해 ‘게이트 프리’ 통행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앞으로 구축될 통합교통서비스(K-MaaS) 체계와도 연결된다. 이 같은 변화는 수도권 신도시와 GTX 환승역 주변부터 우선 적용돼 출퇴근 체감시간 단축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트램·2층버스·BRT… 미래 교통수단도 속속 실증 추진
친환경과 수송 효율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미래 교통수단도 로드맵에 포함됐다. 우선 ‘수소전기트램 실증환경 구축’은 대전, 울산 등에서 RAMS 체계(신뢰성·가용성·유지보수성·안전성)를 기준으로 추진되며 국산 기술로 시제차량을 제작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단계부터 진행된다.
특히 전기트램에 비해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시간이 짧은 수소 기반 트램은 향후 중소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광위에 따르면 수소트램은 차량 개발뿐 아니라 운행 기준, 충전소 안전기준, 운영 체계 전반을 국가 차원에서 마련하는 첫 시도다.
아울러 장거리 광역노선을 겨냥한 2층 수소버스도 개발된다. 1회 충전으로 500㎞ 이상 주행이 가능하며 대용량 수송과 친환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수도권 광역버스망에 적용될 경우 입석 없는 프리미엄 노선 체계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도심형 대용량 BRT(Dynamic BRT)’ 개발도 병행된다. 이 기술은 전용차로, 우선신호, 스마트 정차 기능을 갖춘 BRT 차량을 중심으로 트램 수준의 정시성과 수송 능력 확보를 목표로 한다.
특히 수도권 외곽이나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 중소도시에서 지하철을 대체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다. 대광위는 이외에도 수요응답형 모빌리티(DRT), 자율주행 기반 S-BRT, 도심항공교통(UAM) 인프라와 연계되는 버티포트 기술 등도 동시에 추진한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기술을 통해 교통의 질을 높이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면서 “누구나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실증, 제도 정비를 유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